스물하나, 신인, 도전

‘눈썹은 소복했고 이마는 희고 맨들맨들, 튀어나와 있었다…갸름한 목선을 타고 흘러내린 정맥이 푸르스름했다. 팔걸이에 걸쳐진 양손과 팔은 어린아이의 그것만큼 가늘었다…우주의 비밀을 본 것 같았다.’(소설 ‘은교’ 중에서)

김고은
●순수·관능 동시에 소화

근래 들어 신인배우 중 그만큼 주목받은 이는 없었다. 갖지 못한 것에 대한 갈망을 품은 70세 노시인과 그의 제자, 그리고 여고생의 사랑을 그린 영화 ‘은교’(25일 개봉)에서 300대1의 경쟁을 뚫고 여주인공을 꿰찬 김고은(21)의 얘기다.

박범신 작가의 원작소설은 물론 정지우 감독과 배우 박해일의 조합에 대한 영화계 안팎의 기대치가 높았던 터라 막상 뚜껑을 열고 나니 작품에 대한 호불호는 엇갈리는 편이다. 하지만 소녀의 순수와 처녀의 관능을 동시에 지닌 캐릭터를 완벽하게 소화했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

여고생 은교가 노시인 이적요(박해일), 제자 서지우(김무열)와 사랑을 나누는 장면에 관심이 쏠리는 데 대해 그는 덤덤해진 듯했다. “출연 제안을 받았을 때 사실 무서웠어요. 배우라면, 작품에 꼭 필요한 장치라면 노출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준비가 안 돼 있었죠. 4일을 끙끙 앓으면서 고민했는데 소설 ‘은교’를 읽었던 아빠가 ‘지금 포기한다면 다음에 기회가 오더라도 극복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힘을 주셨어요.”

결단을 내리고 감독을 찾아갔다. 하지만 웬걸. “잘되면 빛을 보겠지만 배우 경력에 결정적인 타격이 될 수도 있다. 그래도 할 수 있다면 해보자.”며 겁을 줬다는 게 김고은의 설명이다(정 감독의 턱을 쓰다듬는 손버릇과 말버릇을 흉내 내면서 재밌어 죽겠다는 듯 까르르 웃었다).

●정사장면 촬영 일주일 전부터 속앓이

갓 스물을 넘긴 신인배우에게 정사 장면이 쉬울 리 없었다. 촬영 일주일 전부터 눈물을 흘리고 홀로 속앓이를 했다. 감독과 상대 배우 박해일·김무열과 대화를 나눈 게 큰 도움이 됐다.

“처음에는 정사 장면도 합을 맞추는(동작의 순서를 약속하는 것을 뜻하는 영화계 용어)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어서 신기했어요. (왜 정사를 나누는지) 감정 변화에 대한 부분만 주야장천 대화를 나눴죠. 막상 촬영에 들어가니 마음이 편해지면서 주위는 안 보이더라고요.” 박해일의 배려도 큰 도움이 됐다. 그는 “감독님이 컷 사인을 내면 해일 오빠가 ‘(여배우의 몸을 가릴 수 있도록) 담요! 담요!’를 외쳤다.”고 말했다.

●“조급해지지 않으려 한예종 택해”

많은 영화 관계자는 ‘은교’를 보고서 이런 원석이 어떻게 숨겨져 있었는지 의아해한다. 단편영화나 광고, 어디에서도 그를 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는 “연극영화과를 가면 빨리 데뷔하고 싶어 조급해지고 하나라도 더 고치려고 안달했을지도 몰라요. 그래서 일부러 한국예술종합학교(연극원)를 택했어요. 여기는 커리큘럼이 워낙 빡빡해서 학교에 처박혀 있을 수밖에 없거든요.”라고 설명했다.

‘고치는’ 얘기가 나온 김에 성형을 생각해보진 않았는지 물었다. “왜 없었겠어요. 중학교 땐 눈, 계원예고를 다닐 땐 코를 하고 싶었어요. 한번은 엄마랑 상담을 받으러 갔는데 의사 선생님이 연예인 사진을 쭉 보여주더니 ‘니 얼굴로는 배우 못 한다. 눈, 코 할 것 없이 싹 뜯어고쳐야 한다’는 거예요. 엄마가 열 받아서 소리를 지르고 나왔죠.”라며 웃음을 터뜨렸다.

글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사진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