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단평을 쓰는 건 꺼림칙한 작업이다. 단평을 빌려 영화와 평자와 관객은 찰나로 만난다. 그 순간, 몇 마디 글이 영화의 진실과 동떨어질까 봐 걱정되는 게 사실이다. 간혹 짧은 글이 감독에게 긴 쓴소리로 작용할 때도 있다. 연전에 필자는 조성규의 데뷔작 ‘맛있는 인생’에 별점 반 개를 주었다. 그는 신작 ‘내가 고백을 하면...’(15일 개봉)의 도입부에서 그것을 인용한다. 평론가 역할의 박해일이 목소리로만 등장해 필자의 별점과 단평을 읊고 여주인공 유정 역할의 예지원이 단평의 뒷부분을 대사로 옮기기까지 한다. 스크린을 대하는 내내 뜨끔한 마음을 감추기 어려웠다.

여전히 ‘맛있는 인생’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런데 ‘맛있는 인생’과 긴밀하게 연결된 ‘내가 고백을 하면...’에는 호감이 생기니 이건 또 무슨 상황인가. 감독이 자기 모습과 삶을 반영한 이런 작품을 보면서 종종 범하는 실수 중 하나는 실재의 인물 때문에 영화의 인물을 왜곡하는 것이다. 조성규가 얄미워 ‘맛있는 인생’을 싫어한 게 아니듯 ‘내가 고백을 하면...’이 좋다고 해서 조성규란 사람이 인간적으로 성숙했다고 단정해 버리면 곤란하다. 영화 속에서 만나는 인물은 엄연히 허구의 인물이다.

조성규는 ‘맛있는 인생’에서 자기 생활을 단순하게 반복하고 복제했다. 다큐멘터리가 아닌 바에야 영화적 순간, 영화적 이야기를 창조해야 한다. ‘맛있는 인생’에는 그게 없다. 인물은 조성규가 사랑하는 도시인 강릉과 그 주변에서 먹고 노니는 여정을 되풀이하고 무리하게 따라붙은 곁다리 이야기가 무슨 멜로라도 되는 양 들려준다. 전자는 지루하고 후자는 억지스러울 수밖에 없다. 벌거벗은 인물을 보면서도 진실함이 가슴에 닿지 않은 건 그래서였다. 조성규는 자신을 포장하려고 영화를 만든 것처럼 보였다.

반면 ‘내가 고백을 하면...’은 평범한 일상을 재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안에 깃든 색깔과 냄새와 박동을 포착한다. 자연스레 허구의 이야기를 힘들이지 않고 직조해 낸다. 감독의 삶에서 출발했으면서도 그와 떼 놓고 봐도 상관없는 이야기의 묘미를 선사한다. 서울에서 번잡하게 생활하는 영화인 인성은 머리를 식힐 겸 주말마다 강릉에 간다. 강릉에서 간호사로 일하는 유정은 문화 생활을 누리고자 주말이면 서울로 향한다. 둘의 이야기인 ‘내가 고백을 하면...’은 일상에 발붙인 이야기 위로 담백한 로맨스를 얹어놓은 작품이다. 친구의 이야기를 갓 전해 들은 듯 이야기에 활력이 넘치고 소박한 숨결 속으로 착한 마음이 고스란히 전해져 온다.

무엇보다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건 몇 번의 영화적 순간이다. 인성과 후배 작가가 유정의 아파트에서 각본 작업을 하다 실제 관계와 허구의 사랑에 관해 대화를 나눈다. 멀리 인성의 아파트에선 유정이 백석의 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를 읽으며 아련히 속삭이는 사랑을 꿈꾼다. 세 사람이 각자의 자리에서 다른 자세로 잠든 모습을 차례로 바라보는 다음 장면의 행복감은 문학작품을 읽는 깊은 밤의 마법에 버금간다. 백석의 시처럼 눈이 ‘푹푹’ 내린 밤을 그린 엔딩은 또 어떠한가. 참 사랑스러운 영화다. 이 영화의 제목에는 점이 세 개 있다. 세 개의 점은 감독이 관객에게 다가가는 발걸음을 닮았다. 망원경을 통해 세상을 구경하기보다 진심으로 터득했기에 가능한 발걸음이다.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