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28일 밤 ‘다큐프라임’

유치원 아이들에게 사진기를 나눠주고 눈에 보이는 것을 찍어오라고 부탁했다. 고층건물, 도로에 빼곡한 자동차, 딱딱한 회색빛 콘크리트…. 이것이 아이들 눈에 비친 세상이다. 자연결핍증후군을 앓고 있는 우리 아이들, 이대로 괜찮을까. 스위스 교육자 페스탈로치는 “한 인간의 머리, 마음, 손이 조화롭게 발달해야 하며 그 해답은 자연 속에 있다”고 했다. 28일 오후 9시 50분에 방송되는 EBS ‘다큐프라임-미래를 바꾸는 교육’에서는 ‘자연, 성장의 밑거름’ 편을 통해 아이들에게 풀과 흙을 더 많이 쥐여줘야 하는 이유를 보여준다.


일본에는 도시화 교육에 반기를 든 유치원이 있다. 태어나면서부터 6살 때까지, 뇌가 커가는 중요한 시기에 이곳 아이들은 온몸으로 자연을 느끼며 생활한다. 아이들은 맨발로 진흙탕에서 뛰어놀고 뒹구는데 이는 발을 통해 신체는 물론 두뇌가 발달할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다. 장난감 하나 없는 공간이지만 아이들은 오감을 통해 자연과 호흡한다.

자연주의 교육의 메카로 유명한 독일에서는 1993년 최초로 숲 유치원이 세워졌다. 이후 사회단체와 학부모의 적극적인 지지에 힘입어 현재는 1000여곳에 이른다. 숲 안에서 수업을 진행해 아이들은 주변 모든 것과 자연스럽게 교감한다. 아이들은 도시 굉음이 아닌 맑은 새 소리를 듣고, 딱딱한 블록 장난감이 아닌 부드러운 풀과 꽃을 만지며 곤충과 친구가 된다.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의 페터 헤프너 박사가 5년간 연구한 결과, 숲 유치원을 다닌 아이들은 일반 유치원 아이들보다 초등학교에 진학했을 때 집중력, 사회성, 인식영역 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