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1TV ‘생로병사의 비밀’

어머니들의 삶은 고단하고 신산했다. 산후조리는 언감생심 사치였다. 아이 낳고 시어머니 눈치 보며 남편 거들어야 했고, 집안일로 분주하기도 했다. 아이들 입에 뭔가 들어가서 무럭무럭 키 크고 뼈 굵어지면 제 일처럼 기뻐했다. 어느 날 문득 돌아보니 노인이 돼 있고, 허리가 굽어져 있었다. 아픈 몸 끌고 병원 찾는 일에도 인색했다. 그러나 굽어버린 허리는 그저 세월이 남긴 흔적이라고만 볼 수는 없다.

KBS 1TV는 19일 밤 10시 ‘생로병사의 비밀’에서 굽은 허리를 병으로 규정하고 원인과 더불어 올바른 치료와 운동을 통해 굽은 허리를 펼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실제 노인의 굽은 허리는 노화로 인한 자연스러운 증상이라 여겨 치료시기를 놓치고 고통받는 경우가 많다. 결국 삶의 질까지 현저히 떨어뜨린다. 실제 허리에서 시작된 통증은 다리, 발까지 이어지고 변형된 허리는 사망률까지 증가시킨다.

허리는 왜 꼬부랑하게 굽는 것일까. ‘척추관 협착증’, ‘압박 골절’, ‘요부 변성 후만증’ 등이 원인이다. 특히 나이가 들수록 뼈의 밀도가 약해지는 골다공증으로 척추에 압박을 받는다. 이 압박은 자연스럽게 신경에도 전달되어 구부정한 자세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 약해진 척추 근육이 주변의 뼈를 잡아주지 못해서 보행에 문제가 생기고 허리가 굽게 된다. 그 때문에 허리는 더 아프고 또 운동하지 않게 되므로 근육도 약해져 꼬부랑병에 이르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문제의 해법은 제주 해녀들에게 있다. 바닷속에서 끊임없이 허리와 다리를 움직이는 제주 해녀들은 같은 연령의 일반 여성에 비해 골다공증 발병률이 현저히 낮았다. 정답은 간명하다. 결국 적절한 운동과 바른 자세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