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웠던 지난여름의 추억…아동 아닌 어른 위한 이야기

전 세계에서 2000만부나 판매된 르네 고시니와 장자크 상페의 베스트셀러, ‘꼬마 니콜라’가 두 번째 이야기로 독자들을 찾아왔다. 이번에는 니콜라 가족들이 해변에서 보낸 여름휴가 에피소드다. 그런데 제목만 보고 아이들 방학용 영화로만 짐작하면 오산이다. ‘꼬마 니콜라의 여름방학’은 선선한 바람이 불 때쯤 뜨거웠던 지난 여름을 추억하게 해주고 어린이보다 어른에게 더 많은 것을 느끼게 해주는 작품이다. 철학적인 동화를 추구해 온 두 원작자의 색깔이 잘 담겨 있는 까닭도 있지만, 어른들에게 유년시절이란 무조건적인 향수와 온갖 상념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니콜라 가족은 매년 엄마의 고집대로 산에서 휴가를 보냈으나 올해는 외할머니를 모시고 가는 조건으로 아빠가 좋아하는 바다에 가게 된다. 주책 맞은 장모와 소심한 사위의 불편한 동행은 영화 초반의 코믹한 분위기를 주도하는데, 현실에서는 심각한 전쟁으로 번지기도 하는 이 관계가 영화에서는 어린 니콜라의 시점으로 관찰되면서 상당 부분 순화되고 그저 소소한 갈등 정도로 처리된다. 이러한 동화 본연의 낭만성은 이후 발생하는 모든 사건들의 해결에 유사한 방식으로 관여한다.

해변 도착 이후, 이야기는 크게 두 갈래로 나뉜다. 여자 친구(마리)가 있는 니콜라는 호텔에서 우연히 만난 아빠의 친구 딸(이사벨)과 정략결혼할지도 모른다는 망상에 빠지고 친구들과 함께 그 끔찍한 결혼을 피해갈 묘책을 찾느라 바쁘다. 비록 니콜라를 구제하는 데는 역부족이지만 어느 첩보 영화보다도 다양한 개성을 가진 친구들의 활약은 한 장면 한 장면에 생기를 불어넣는다.

한편 마리를 버리고 이사벨을 택해야 할 위기에 놓인 니콜라의 상황은 어른들에게도 변주된다. 촬영을 위해 해변에 온 잘나가는 영화제작자가 니콜라의 엄마에게 저돌적으로 접근해 온 것이다. 이 부분에서 영화는 스스로 ‘아동용’이 아닌 ‘가족용’임을 천명한다. 유부녀를 돈과 권력으로 꾀어 보려는 제작자의 모습은 아이들에게 보여 주고 싶지 않은 어른들 세계의 일그러진 단면이 아닌가. 물론 이 전체 관람가 영화는 이번에도 별일 아니라는 듯 사건을 간단히 정리함으로써 ‘가족’이라는 신화를 공고히 한다. 진지함은 엿볼 수 없지만, 모든 것을 가장 이상적인 방향으로 해결한다고 해서 불평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집으로 돌아온 니콜라 가족은 ‘일상’이라는 평온함 속에 안도한다. ‘바닷가의 여름휴가’라는 배경에 걸맞게 아이와 어른 모두 그 나이대의 ‘유혹’을 경험하지만, 한여름 밤의 열기와 함께 혼돈은 사라지고 모든 것이 제자리로 돌아온 것이다. 그래서 ‘꼬마 니콜라의 여름방학’은 한 계절을 지나면서 아픔을 통해 성숙해지는 소년의 성장담이 아니라 학교와 도시를 벗어난 니콜라 가족의 추억담이라고 할 수 있다. 즐거웠던 여름휴가의 여운을 길게 가져가고 싶은 이들에게 추천한다. 21일 개봉. 전체 관람가.

윤성은 영화평론가
인기기사
인기 클릭
Weekly Best
베스트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