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와인농장들 기후변화에 맞서라

프랑스 와인농장들 기후변화에 맞서라

입력 2010-02-27 00:00
수정 2010-02-27 0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와인 종주국 프랑스의 적은 더이상 칠레, 호주와 같은 신흥 생산국이 아니다. 와인 소비를 감소하게 만드는 경제 불황도 아닌 것 같다. 프랑스 와인농장들은 기후변화라는 새로운 적의 출현을 가장 두려워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수백년간 고급 와인을 생산해온 프랑스 농장들이 기후변화에 적응할 것인지, 사업을 아예 포기할 것인지 선택의 기로에 놓여 있다고 26일 보도했다.
이미지 확대
프랑스 보르도 와인농장의 전경(위)과 ‘샤토 드 세겡’ 농장 지하 저장고에서 숙성 중인 와인 오크통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프랑스 보르도 와인농장의 전경(위)과 ‘샤토 드 세겡’ 농장 지하 저장고에서 숙성 중인 와인 오크통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와인은 프랑스의 수출 1위 품목이다. 2006년 기준 수출액이 87억유로(약 14조원)에 달했고 18만 9000여명이 와인업에 종사하고 있다. 그러나 프랑스를 ‘먹여 살리는’ 와인농장들이 지구온난화 때문에 애를 먹고 있다. 피노누아, 샤도네이 등 고급 와인 산지인 프랑스 중부 부르고뉴 지역은 남부 론 지역만큼 온화한 날씨가 되었고 보르도 지역은 스페인 바르셀로나만큼 따뜻해졌다.

와인 포도는 품종에 따라 일조량, 기온, 습도, 토양 등 재배 조건이 다르다. 특히 기온이 조금이라도 바뀌면 당도와 산도에 즉각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재배가 까다롭다.

프랑스 북서부 알자스 지방에서 최고 품질의 화이트 와인인 그랑 크뤼 리슬링과 게뷔르츠트라미너를 생산하는 올리비에 훔브레히트(46)도 기후변화 앞에 속수무책이다. 그는 세계와인마스터협회로부터 와인마스터 자격을 받을 정도로 업계 1인자이지만 앞으로 와인사업을 계속할 수 있을지 확신하지 못했다.

그는 월스트리트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사계절의 기온변화를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어야 재배 계획을 세우는 데 연간 온도 편차가 너무 커져서 낭패를 보고 있다.”면서 “머지않아 화이트 와인 생산을 중단하고 남부지방에서 생산되던 카르베네 쇼비뇽, 시라 등의 포도 품종을 가져다 심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품종을 바꾸더라도 포도밭이 20~25년은 지나야 좋은 와인을 생산하기 때문에 30년 앞서 계획을 세워야 하는데 아무도 30년 뒤 기후를 장담할 수 없다.”며 답답한 마음을 드러냈다.

프랑스 당국의 정책도 와인 업계의 발목을 잡고 있다. 포도재배 지역과 품종을 엄격히 제한한 ‘원산지 통제 명칭 제도’(AOC)는 프랑스 와인 품질의 자존심을 지켜 왔지만 그만큼 규정이 까다로워 업계가 기후변화에 유연히 대처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훔브레히트는 “정부에 AOC 규정을 완화해 달라고 로비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른 와인 생산국 역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스페인은 포도밭을 높은 곳으로 옮겨 기후변화에 대처하고 있으며 독일도 주력품종인 화이트와인 대신 더운 날씨에 비교적 잘 견디는 레드와인으로 품종을 바꾸고 있다.

기후변화 덕에 쾌재를 부르는 곳도 있다. 대표적인 나라가 영국이다. 질 좋은 브랜디를 생산하던 남부 스코틀랜드 지역에 속속 와인농장이 생겨나고 있다. 영국 주간 타임은 지난해 영국의 와인이 “당도와 산도의 균형이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영국의 와인 잡지 ‘포도밭 가이드’의 저자 스티븐 스켈턴은 “샤도네이와 피노누아를 영국이 재배할 수 있고, 지금처럼 알맞게 익힐 수 있다는 사실은 예전엔 상상도 못 했던 일”이라면서 “이 모든 게 기후변화 덕분에 10년 만에 일어났다.”며 놀라워했다. 덴마크도 6~7년 전부터 정부 차원에서 와인산업을 육성, 질 좋은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높은 기온은 포도를 잘 익게 하기 때문에 와인의 맛을 높이는 면도 있다. 최근 미국의 4개 대학은 기온상승과 와인 품질 사이의 연관성을 증명했다. 연평균 기온이 높았던 연도에 생산된 와인이 품평가들에게 더 좋은 평가를 받았다는 것. 그러나 특정 온도를 넘어서게 되면 포도가 너무 빨리 익고 쉽게 썩는다. 또 새로운 병충해에 시달릴 우려가 있어 재배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0-02-27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