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동남아 메콩강 물싸움

中·동남아 메콩강 물싸움

입력 2010-04-03 00:00
업데이트 2010-04-03 01: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베이징 박홍환특파원·서울 박성국기자│강을 공유하는 아시아 국가들 간의 ‘물싸움’이 본격화됐다.
이미지 확대


메콩강이 말라붙어 20년래 최대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태국, 라오스, 베트남, 캄보디아 등 4개국은 2일 태국 남부의 휴양도시 후아힌에서 제1회 메콩강위원회(MCR) 정상회의를 열어 대응책 논의를 시작했다. 긴급소집된 이번 회의는 5일까지 계속된다. 중국은 차관급인 쑹타오(宋濤) 외교부 부부장을 대표로 농업부와 수리부 전문가들을 파견해 미얀마와 함께 옵서버 자격으로 참가한다.

쟁점은 메콩강 상류인 중국 윈난(雲南)성에 건설했거나 건설 중인 수력발전용 댐에서 강물의 방류를 중단해 메콩강의 수량이 크게 감소했는지다.

태국 민간단체인 ‘메콩강 살리기 연맹’은 지난달 17일 “1990년대 초부터 중국의 메콩강 개발로 생태변화가 가속됐고, 하류 주민들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중국을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베트남 언론들도 “1986년 이래 중국이 건설한 8개의 수력발전용 댐으로 인해 하류의 가뭄이 극심해졌다.”고 질타했다.

중국 측은 자연재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친강(秦剛) 외교부대변인은 지난달 30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 측 유역인 란창(瀾滄)강에서 메콩강으로 흘러드는 수량은 메콩강 전체 수량의 13.5%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중국은 이번 회의에서도 구체적인 수치를 들이대며 ‘중국책임론’을 반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동남아 전문가인 베이징대 장시전(張錫鎭) 교수는 “관련국들이 원한다면 중국내 상황을 공개해서라도 오해를 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메콩강 개발에 적극적인 일본 및 미국을 견제할 필요성이 있는 중국 입장에서는 오히려 이번 회의를 통해 전력제공 등 일종의 ‘보상안’을 제시하면서 관련국들을 다독일 가능성도 높다. 일본은 지난달 31일 베트남에서 중국을 제외한 메콩강 유역 5개국 과 ‘메콩강-일본 고위급대화’를 열어 중국을 자극한 바 있다.

총길이 4880㎞인 메콩강은 중국의 티베트와 윈난성을 경유해 미얀마와 라오스, 태국으로 흘러든 뒤 다시 라오스를 거쳐 캄보디아와 베트남을 관통해 최종적으로 베트남 호찌민시에서 바다로 흘러든다. 중국에서는 란창강으로 불린다.

stinger@seoul.co.kr
2010-04-03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