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부 ‘親왕실 기조’에 중재역 난감
국왕이 중재 활동을 벌이지 않는 표면적인 이유는 건강 문제. 지난해 9월부터 고열과 식욕부진 등으로 방콕 시리라즈 병원에 장기입원해 있다. 그러나 그가 침묵하는 진짜 이유는 이번 사태가 계층간 갈등에서 비롯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과거와 달리 국왕 자신도 ‘이해당사자’가 돼 끼어들기가 껄끄럽게 됐다는 것이다.
과거 푸미폰 국왕은 군부와 민주화 세력 간의 충돌 과정에 ‘제3자’로서 개입할 수 있었다. 현재는 왕실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여온 탁신 친나왓 전 총리를 지지하는 시위대를 지원할 수도 없고, 왕실 수호를 기치로 내걸고 있는 현 정부와 군부 손을 섣불리 들어줄 수도 없는 난감한 상황이다.
태국은 입헌군주제 국가이지만 푸미폰 국왕은 ‘헌법 위의 존재’로서 초월적인 영향력을 발휘해 왔다. 1946년 즉위해 60년 넘게 재임하고 있는 그는 재임 기간 19번의 군부 쿠데타와 16번의 헌법 개정 등 사회 격변을 겪었지만 지도력과 중재 능력으로 고비 때마다 사태를 해결해 ‘살아있는 부처’로 추앙받아 왔다.
그는 1973년 군부가 민주화 시위를 벌이는 학생들을 향해 발포하자 궁전 문을 열어 학생들의 편에 섰고 1992년 군사정권에 의해 민주주의가 위험에 처했을 때도 직접 개입해 군사정권을 종식시켰다. 1992년 당시 군부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수친다 총리와 야권의 잠롱 방콕 시장을 왕궁으로 불러들여 무릎을 꿇어앉히며 준엄하게 질책하던 모습은 국왕의 권위를 상징한다. 당시 푸미폰 국왕이 군부 쿠데타에 반대하자 수친다 총리는 해외 망명길을 떠났다.
이석우기자 jun88@seoul.co.kr
2010-05-1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