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공동창업주의 뼈 있는 예언
지난 1976년 스티브 잡스와 함께 애플을 설립했던 스티브 워즈니악이 스마트폰 시장에서 구글이 애플을 누를 것으로 전망했다.![스티브 워즈니악](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11/19/SSI_20101119185420.jpg)
![스티브 워즈니악](https://img.seoul.co.kr//img/upload/2010/11/19/SSI_20101119185420.jpg)
스티브 워즈니악
그러나 경영이나 관리에 전혀 관심이 없었고, 애플이 대기업이 되자 자신의 지분을 직원들에게 헐값에 나눠준 뒤 회사를 떠났다. 당시 워즈니악이 주식 매각으로 번 돈은 고작 100만원도 안 된다.
워즈니악은 애플과 구글의 안드로이가 벌이고 있는 스마트폰 운영체제(OS)가 80년대 마이크로소프트(MS)와 매킨토시가 벌였던 PC OS의 전철을 밟을 것으로 예상했다. 당시 MS의 빌 게이츠는 초대형 PC 제조업체였던 IBM과 손을 잡으면서 급성장한 반면 잡스는 매킨토시 자체 운영 체제만을 고집하다가 내리막길을 걸었다. 현재 스마트폰 시장에서도 구글은 현재 다양한 제조사에 OS를 공개하고 있지만, 애플은 자사의 iOS만을 단일 OS로 채택하고 있다.
워즈니악은 애플의 스마트폰이 약점이 거의 없다는 측면에서 품질은 최고라고 전제한 뒤 “윈도가 초기에 가졌던 소프트웨어 오류 등의 문제가 안드로이드에 나타나고 있지만 결국은 애플을 따라잡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 “안드로이드 휴대전화가 더 폭넓은 기능을 갖고 있고, 아이폰은 일부를 위한 기기지만 안드로이드는 ‘모든 사람을 위해서’라는 명확한 신조를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워즈니악은 세계 최대의 휴대전화 제조사인 노키아가 겪고 있는 어려움에 대해서는 “젊은 사람들이 노키아를 구세대를 위한 휴대전화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0-11-2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