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기준금리 0.25%p 인상···국내 경제 영향은

中 기준금리 0.25%p 인상···국내 경제 영향은

입력 2010-12-25 00:00
업데이트 2010-12-25 2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이 26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함에 따라 대(對)중국 수출 등 국내 경제에는 충격이 불가피해 보인다.

 중국이 금리를 인상해 성장률이 낮아지면 당장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이 줄어들 수 있지만,중국이 경제 위축보다 속도 조절에 무게를 두고 있어 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중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국내에서도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압박이 커질 것으로 보여 내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시기가 더욱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

 ◇”對中 수출,장기적으로 긍정적”

 중국이 2개월만에 기준금리를 또 0.25%포인트 올려 단기적으로 대(對) 중국 수출에는 부정적인 영향이 우려된다.

 중국은 11월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5%를 넘어서자 인플레와 경기 과열에 대한 억제 조치로 전격적으로 금리 인상을 단행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가 중국에 수출한 실적은 지난해 867억달러로 전체 수출의 23.9%를 차지했으며 올해 1∼11월에는 1천57억달러로 전체 수출의 27.5%까지 높아졌다.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이 금리 인상에 따라 성장률이 낮아지고 세계 경제의 성장률도 덩달아 위축되면 한국 경제에도 충격이 불가피하다.중국의 수출이 감소하면 대중국 중간재와 원자재 수출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금리 인상이 중국 경제를 위축시키려는 조치가 아니라 속도 조절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오히려 대중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김현욱 거시경제연구부장은 ”중국의 금리 인상은 속도조절에 나섰다는 의미로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하기 위한 것“이라며 ”따라서 단기적으로 대중 수출이 더 늘어나지 못하는 아쉬움은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중국은 내수를 중시하는 정책 방향을 지속적으로 밝히고 있으며 물가가 안정되고 위안화 구매력이 올라가면 대중국 소비재 수출 등 내수시장 진입기회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금리 인상 시기 빨라질 듯

 중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국내에서도 금리를 조기에 인상해야 한다는 압력이 높아질 전망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물가 불안이 커짐에 따라 지난 7월과 11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인상했지만 12월에는 동결했다.

 연말 기준금리 동결은 유럽 일부 국가의 재정위기와 중국의 긴축정책,세계 경기 둔화,북한의 연평도 포격 이후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험 부각 등 대내외 불확실성을 고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중국이 전격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함에 따라 국내에서는 원화 값이 동반 상승할 가능성이 커졌다.

 또 내년에 물가 불안을 예고하는 신호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수요 압력이 가중되면서 공공요금과 개별 품목의 인상이 잇따를 전망이다.

 국제 유가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의 상승도 국내 물가에 영향을 주고 있다.

 수입 두바이유가 최근 약 2년만에 최고치인 배럴당 90달러를 넘으면서 국내 주유소 중에서는 휘발유 판매가격이 ℓ당 2천원을 넘는 곳까지 생겼다.

 이처럼 국내외 물가 압박이 거세지면서 중국의 기준금리 인상을 계기로 국내에서도 조기에 물가를 잡고자 연 2.5%인 기준금리 인상을 서두를 가능성이 크다.

 삼성경제연구소 정영식 수석연구원은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도 차이나플레이션(China+Inflation:중국발 물가상승)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주의 깊게 보는 것 같다“며 ”이번 중국의 조치로 국내 금리 인상 시기도 더 앞당겨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 연구원은 또 ”국내의 유동성도 상당히 풍부하고 국제적으로도 양적 완화를 통해 국제 수입물가 상승 요인이 있어 추가 물가상승 압력을 고려할 때 최근에 두 차례 금리를 올린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당분간 물가 상승률이 안정 목표치(3%)를 웃도는 3% 중반대가 지속할 것으로 보고 있어 자칫 적절한 인상 시기를 놓치면 물가안정 책무를 저버렸다는 비난을 면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