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독재 ‘무바라크 피라미드’ 무너질까

30년 독재 ‘무바라크 피라미드’ 무너질까

입력 2011-01-27 00:00
업데이트 2011-01-27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배고픈 국민의 성난 시위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면서 북아프리카의 맹주인 이집트의 정세가 시계 제로에 빠져들고 있다. 이집트의 반정부 시위 배경과 확산 과정이 튀니지의 시민혁명을 빼닮아 ‘제2의 재스민 혁명’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미지 확대
찢겨진 무바라크  반정부 시위대에 참가한 한 시민이 25일(현지시간) 항구도시 알렉산드리아의 거리에 설치된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의 초상화를 손으로 뜯어 내고 있다. 알렉산드리아 AP 연합뉴스
찢겨진 무바라크
반정부 시위대에 참가한 한 시민이 25일(현지시간) 항구도시 알렉산드리아의 거리에 설치된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의 초상화를 손으로 뜯어 내고 있다.
알렉산드리아 AP 연합뉴스
이집트의 휴일인 25일(현지시간) ‘경찰의 날’에 수도 카이로와 수에즈 등 전역에서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열렸다.

집회 과정에서 시민 2명과 경찰 1명 등 모두 3명이 숨지면서 시위는 더욱 격렬해졌다. 시민들은 “더 이상 무바라크는 안 된다.”라는 구호를 외치며 마치 죽음을 각오한 듯 행동했다고 BBC가 전했다.

이집트의 반정부 시위는 생활고에 지친 젊은이들이 살아 있는 권력을 정조준했다는 점에서 튀니지 혁명과 비슷하다.

이집트 전체 인구 8000만명 중 절반가량이 하루 2달러 이하로 생활하고 실업률이 10%에 육박하는데 빵값 등 물가는 계속 오르고 있다. 특히 ‘조용한 나라’로만 알았던 이웃 나라 튀니지의 시민들이 독재자 엘아비디네 벤 알리 대통령 축출에 성공하자 이집트 국민은 더욱 자극받았다.

이집트 출신인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전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튀니지로부터 강력한 메시지를 받은 뒤 젊은이들이 비장한 결심을 한 듯하다.”고 상황을 전했다.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타고 시위 세력이 급속히 커진 것도 튀니지와 판박이다. 25일까지 모두 9만명의 네티즌이 페이스북을 통해 시위 참여 의사를 밝혔다.

또 반정부 집회 현장에서 시위대와 경찰이 빵을 나눠 먹는 등 일부 우호적인 기류가 조성된 것도 군·경이 정권 축출에 동참했던 재스민 혁명을 떠올리게 한다.

그러나 30년간 이집트를 지배해 온 무바라크 정권이 친(親)서방 노선을 걸어온 까닭에 시위대가 미국 등 강대국의 지지를 이끌어낼 수 없을 것이라는 비관 섞인 분석도 나온다.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도 이날 무바라크 정권에 대해 ‘안정적’이라고 평가하며 사태 진화에 나섰다.

하지만 피플파워가 당장 권력 축출에는 실패한다 해도 오는 9월 대선에서 6선에 도전할 무바라크 대통령을 계속 괴롭힐 것이라고 외신들은 분석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1-01-27 19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