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식품 솎아내기 지구촌 비상

日식품 솎아내기 지구촌 비상

입력 2011-03-25 00:00
업데이트 2011-03-25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각국 정부 ‘철통 봉쇄’ 긴급조치 확산

일본 식품에 대한 각국 정부의 철통 봉쇄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후쿠시마 제1원전 인근 해수의 오염 범위는 넓어지지 않고 있지만 방사성물질 농도는 크게 높아졌다. 미국과 홍콩에 이어 캐나다, 호주, 싱가포르 등도 24일 방사성물질에 오염될 수 있다는 이유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인근 지역의 채소, 유제품, 해산물 등의 수입을 전면 제한하기로 했다.

이미지 확대


캐나다 연방식품검사국(CFIA)은 후쿠시마, 군마, 이바라키, 도치기 등 원전 주변 4개 현에서 생산되는 유제품과 과일, 채소의 안전성을 증명하는 서류가 없을 경우 수입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호주도 일본 4개 현에서 생산되는 유제품, 채소, 해조류, 해산물 등의 시장 유입을 막겠다고 선포했고 싱가포르 식품안전청(AVA)도 4개 현에서 출하된 우유, 유제품, 육류, 해산물, 농산물의 판매를 금지했다. 독일과 영국 등이 일본 식품의 방사선 검사 대상을 확대한 가운데 유럽연합(EU)도 수입 금지를 검토하고 있다.

도쿄전력이 전날 후쿠시마 제1원전 인근 바닷물을 조사한 결과 법정 농도 한도를 146.9배 초과한 방사성 요오드가 검출됐다. 도쿄전력은 “최근 내린 비와 냉각 작업에 쓰인 바닷물이 유입되면서 농도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원전에서 30㎞ 떨어진 해역에서는 인체에 영향을 미칠 만한 농도의 방사성물질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열도 내에서는 일본 기업들의 자국 이탈이 본격화될 조짐을 보인다.

로이터는 23일 쓰나미, 지진, 방사능 등 일본의 ‘삼중고’와 이로 인한 엔고 현상까지 겹치면서 일본 기업들이 생산 기지를 해외로 빼내도록 재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도요타, 소니 등 일본의 대표 수출 기업의 경우 기록적인 강세를 기록한 엔화로 환 부담까지 가중됐다. 소니는 이미 부품 공급 부족이 계속되면 해외 공장으로 생산 기능을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일본에서 연간 300만대의 차량 생산을 유지하겠다던 도요타 사장의 지난 1월 약속도 시험대에 올랐다.

기우치 다카히데 노무라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생산과 관련한 일본의 ‘컨트리 리스크’가 고조되고 있다.”면서 “제조업 기지였던 일본이 공동화(空洞化) 위기로 치달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미 일본 국내 기업의 해외 생산 비율은 20년 전 6%에서 최근 20% 수준까지 증가했다. 1995년 고베 대지진 당시에도 8.3%에 불과하던 해외 생산 비율이 3년 뒤 11.6%로 뛰어오른 바 있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2011-03-25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