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원전 1~3호기 터빈실에 高방사능 물웅덩이

日원전 1~3호기 터빈실에 高방사능 물웅덩이

입력 2011-03-25 00:00
업데이트 2011-03-25 13: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터빈실 물의 방사성 물질 농도, 노심 물의 1만배””각종 배관도 심하게 고장 난 듯”

원자로 냉각장치 복구 작업을 하던 근로자가 방사선에 노출돼 병원에 실려간 사건을 분석한 결과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 1, 2, 3호기의 연료봉이 훼손됐을 개연성이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경제산업성 산하 원자력안전.보안원은 25일 기자회견에서 “작업원들이 일하던 3호기 터빈실 지하 1층에 고여 있던 물에서 정상 운전시 원자로 노심의 물보다 농도가 1만배 높은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터빈실에 고여 있던 물을 분석한 결과 1㎠당 약 390만㏃(베크렐)의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는 것이다. 정상 운전 중인 원자로 노심 물의 방사성 물질 농도는 수백 ㏃인 것으로 알려졌다. 터빈실 물에서는 정상 운전 시라면 연료봉 안에 들어 있어야 할 방사성 요오드 131이나 세슘 137 등이 검출됐다.

이후 1, 2호기 터빈실에서도 고농도 방사성 물질로 오염된 물웅덩이가 발견되자 도쿄전력은 1, 2, 3호기의 전력.냉각장치 복구 작업을 중단하고, 물웅덩이 제거 작업을 벌였다.

원자로 터빈실은 원자로와 연결돼 있긴 하지만 별개의 건물이다.

정상 상태라면 터빈실에 물이 고여 있지 않고, 방사성 물질 농도가 ‘0’에 가까운 것은 물론이고, 원자로 노심의 물도 방사성 물질 농도가 그리 짙지 않아야 한다. 연료봉이 금속성 피복재 등으로 이중삼중으로 싸여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실제로는 터빈실의 물에서 고농도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는 것은 1∼3호기 원자로나 사용 후 연료 저장조에 있는 연료봉이 손상돼 방사성 물질이 다량으로 새어나왔고, 냉각수 등을 순환시키는 배관이 심하게 손상됐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원자력안전.보안원 관계자는 “방사성 물질이 멀리까지 퍼졌다는 점은 정밀하게 검증할 필요가 있다”며 “연료봉이 훼손됐을 개연성이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1∼3호기 원자로의 격납용기가 부서진 것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됐지만 원자력안전.보안원측은 오후 기자회견에서 “원자로 격납용기가 부서졌다는 데이터는 없다”며 “밸브를 통해서 새어나왔거나 방사성물질이 포함된 수증기가 방출됐을 확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NHK 방송은 “방사성 물질로 오염된 물이 터빈실뿐만 아니라 이곳저곳으로 새어나갔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원자로의 전력 및 냉각장치 복구 작업을 하는 근로자들의 안전 문제도 논란이 됐다.

원자력안전.보안원에 따르면 도쿄전력이 방사선 노출 사고 전날인 23일 터빈실을 조사했을 때에는 물이 거의 고여 있지 않았고, 방사선량도 시간당 0.5m㏜(밀리시버트)로 낮았다.

이 때문에 도쿄전력 협력업체 소속인 근로자들은 작업화 속에 물이 새어들어 오고, 방호복에 달린 선량계(線量計)가 경고음을 내는데도 선량계가 고장 났다고 생각하고 계속 작업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원자력안전.보안원은 “도쿄전력에 대해 사전 조사를 제대로 하고, 작업원 장비를 보강하며, 선량계가 경고음을 내면 작업을 멈추게 하는 등 사고 재발을 방지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3, 4호기 외부에서는 소방대와 자위대의 사용후 연료 저장조 물 뿌리기가 이어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