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비밀주의 원칙 특허전 치르다 금가

애플 비밀주의 원칙 특허전 치르다 금가

입력 2012-08-06 00:00
업데이트 2012-08-06 01: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디자인 전략·마케팅 비용 등 공개… 美법원 ‘삼성 제재’ 애플 요청 기각

애플과 삼성전자의 특허 전쟁이 가열되면서 애플의 ‘비밀주의’ 원칙에 금이 가고 있다.

두 회사의 특허 소송을 맡은 법원이 ‘삼성이 아이폰, 아이패드 등의 디자인을 베꼈다.’고 주장하는 애플에 핵심 제품 개발과 관련된 자료를 제출하도록 했고 이 과정에서 일부 기밀이 공개됐기 때문이다. ‘내부 직원조차 옆 사무실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전혀 모른다.’는 얘기가 나돌 만큼 애플은 철저한 보안으로 유명하다.

필 실러 애플 해외마케팅 부문 부회장은 3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연방 북부지방법원에서 진행된 특허소송 공판에 출석해 자사의 마케팅 비용을 공개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아이폰을 처음 내놓은 2007년부터 2011년까지 미국에서 쓴 광고비용은 모두 6억 4700만 달러(약 7300억원)였다. 또 2010년 출시한 아이패드 광고비용은 4억 5720만 달러에 달했다.

스콧 포스털 애플 모바일 소프트웨어 부회장도 이날 법정에 나와 “지난해 1월 한 임원이 ‘아이패드(9.7인치)보다 작은 7인치 태블릿PC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진술했다. 애플은 그동안 소형 아이패드가 제작되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 인정하지 않았다.

포스털 부회장은 2004년 아이폰 개발을 위해 ‘퍼플 프로젝트’라는 팀을 꾸렸을 때 스티브 잡스 회장이 철저한 보안을 명령했다는 사실도 털어놓았다. 당시 회사를 이끌던 잡스는 사용자 환경(UI), 스크린에 뜨는 버튼과 이미지에 관한 작업을 할 인력을 회사 밖에서 모집하지 말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이 밖에 아이폰을 산 소비자의 78%가 케이스를 구입한다는 내부 조사 결과 등 애플에 관한 시시콜콜한 사실들이 공개됐다.

한편 북부지방법원의 루시 고 판사는 이날 심리에서 ‘재판에서 배제된 증거를 언론에 발표한 삼성전자를 제재해 달라.’는 애플의 요청을 기각했다. 앞서 애플은 재판부에 ▲자사 특허가 유효하다는 선언을 해줄 것 ▲애플이 소니 디자인을 모방했다는 삼성전자의 주장과 관련된 증거를 배제해 줄 것 등을 내용으로 하는 삼성전자 제재 조치를 요청한 바 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2-08-06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