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유가, 국제사회 새 불안요소로 부상”

“저유가, 국제사회 새 불안요소로 부상”

입력 2014-12-02 00:00
업데이트 2014-12-02 04: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OPEC 원유 감산 불발 후폭풍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원유 생산량 유지 결정에 베네수엘라, 나이지리아, 이란 등 석유 수입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에서 불안이 야기되고 있다. 이들 국가가 저유가에 맞춰 내년 긴축 예산 편성에 들어간 가운데 줄어든 재정만큼 사회복지 비용 삭감, 에너지 가격 인상 등이 불가피해 국민들의 불만이 고조되는 모양새다.

블룸버그 통신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사태, 이슬람국가(IS)의 출현에 더해 저유가가 새로운 국제사회 불안 요소로 부상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새로운 저유가는 멕시코 디폴트와 소련의 붕괴를 가져왔던 30년 전 가격 하락과 같은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1980년대에도 사우디아라비아의 고집으로 유가가 배럴당 12달러까지 무너진 바 있다.

대부분의 산유국은 원유 수출에서 얻는 수입이 예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저유가로 인한 타격이 심각하다. 재정이 빈약한 베네수엘라, 이라크, 이란, 나이지리아 등은 속속 내년 예산을 축소하고 있다. 긴축 재정은 정부 지출 삭감을 의미한다. 석유정치학의 대가 대니얼 예르긴은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심리적으로 큰 변화가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해 불확실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라크는 원유 수출가격을 배럴당 70달러로 예상하고 내년 예산안을 짰는데 지난달 28일 64달러로 떨어지자 예산안 변경에 나섰다. 아프리카의 주요 산유국으로 수입의 75%가 석유에서 나오는 나이지리아는 지난달 처음으로 금리 인상을 단행한 데 이어 최근 자국 화폐 가치까지 내렸다. 여기에 더해 내년 예산도 6% 삭감할 계획이다. 서방 제재를 받는 이란도 줄어든 수입 탓에 긴축 재정은 물론 그동안 지급해 오던 석유값 보조금 삭감도 고려하고 있다.

가장 불안한 곳은 베네수엘라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 적자 비율이 16%에 달하는 베네수엘라는 저유가로 직격탄을 맞았다. 올 초부터 인플레이션 심화 등에 항의하는 시위가 끊이질 않아 자칫 예산 축소에 따른 지출 삭감은 끓는 물에 기름을 붓는 꼴이 될 수 있다. 분위기가 심상치 않자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은 TV 연설을 통해 “내년 예산안을 대폭 줄이더라도 정부 지출은 유지할 것”이라며 민심 달래기에 나섰다.

이들 국가의 고통은 미국의 셰일가스 붐이 이 정도로 광범위하게 일어날지 예상하지 못한 데 있다. 100달러 유가에 안주해 일부 산유국들은 석유 중심의 경제와 산업구조에서 탈피하는 데 실패했다. 그동안 고유가로 쉽게 번 돈을 기름과 주택 보조금에 사용하며 국민을 길들여왔다. 통신은 “이 같은 ‘퍼주기’가 위험에 처했다”며 “일부 국가에서 아이들을 길거리로 나가지 않도록 주던 정부 보조금을 중단하면 이들이 다시 거리로 나갈 것이며 이는 정치적 혼란과 격변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박상숙 기자 alex@seoul.co.kr
2014-12-02 14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