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기시다 방한은 과거에서 벗어나자는 메시지”

日 “기시다 방한은 과거에서 벗어나자는 메시지”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3-05-07 17:01
수정 2023-05-07 17: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제 강제동원 피해 생존자 제3자 변제 수용 의사 밝혀

이미지 확대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참배하는 기시다 총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참배하는 기시다 총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부부가 7일 방한 첫 일정으로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 분향 뒤 묵념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일본 총리로서는 5년 3개월 만에 한국을 방문하면서 일본 내에서는 한일 관계가 좀 더 진전될 것으로 기대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일본 총리관저의 한 간부는 7일 아사히신문에 “3월 (한일 정상회담 이후) 셔틀외교 재개로 (한일 관계 개선에) 탄력이 붙었다. 자주 만나 터놓고 이야기할 관계를 맺고 싶다”고 말했다.

특히 일본에서는 기시다 총리가 올여름쯤 한국을 방문할 것이라는 전망을 깨고 조기 방문을 결단한 것에 의미를 부여했다. 일본 정부 고위 관계자는 “총리가 직접 미래 지향으로 나아가자는 것을 보이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며 “이제 과거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안 되는 국면이라는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라고 했다. 산케이신문도 “한국 내 여론과 야당의 반발에도 한일관계 복원에 나선 윤석열 대통령의 결단에 호응하려는 게 기시다 총리의 의도”라고 분석했다.

일본에서는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 문제와 관련해 기시다 총리가 한국에서 직접 사과 등이 이뤄질지 주목하고 있다. 마이니치신문은 “한국 정부 내에서는 기시다 총리의 조기 방한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의견이 있다”며 “기시다 총리가 역사 문제를 둘러싸고 진전된 발언을 할지 관심이 쏠린다”고 했다.

한편 교도통신과 도쿄신문 등에 따르면 2018년 일제 강제동원 관련 소송에서 승소를 확정한 피해 생존자 3명 가운데 1명이 기존의 반대 입장을 바꿔 정부의 ‘제3자 변제’ 해법을 수용하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의한 판결금 수령에서 최소 10명의 유족이 판결금을 받았지만 강제동원 피해 생존자가 판결금을 받겠다는 의사를 나타낸 건 이번이 처음이다.

재단 측은 조만간 이사회를 열어 이 생존자에게 판결금을 지급하기 위한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대법원의 배상 확정 판결을 받은 강제동원 피해 생존자는 일본제철 피해자 이춘식 할아버지, 미쓰비시 근로정신대 피해자 양금덕·김성주 할머니로 이 가운데 누가 재단을 통한 배상금 수령 의사를 밝혔는지 알려지진 않았다.

교도통신은 “한국 정부와 재단은 제3자 변제 해법에 반대하는 원고들을 설득하는 작업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쿄신문은 “한국에서는 제3자 변제 해법에 대한 반대 여론이 강하지만 당사자가 입장을 바꿔 이를 받아들이면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