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고 싶은데 뺨 맞은 포드…中시장 판매량 70% 급감

울고 싶은데 뺨 맞은 포드…中시장 판매량 70% 급감

입력 2019-06-07 18:22
업데이트 2019-06-07 18: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판매량 반토막 이후 실적 더 나빠졌는데 ‘벌금 폭탄’까지사드 갈등·센카쿠 열도 분쟁 때도 韓·日 자동차 판매 감소

미중 무역 갈등 와중에 최근 중국 정부로부터 거액의 반독점법 위반 벌금을 맞은 미국 자동차 회사 포드의 중국 내 판매 실적 악화 추세가 더욱 굳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창장(長江)상보 등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포드의 중국 내 합작 법인인 창안포드의 올해 1∼4월 판매량은 5만1천600대로 작년 동기보다 69.33% 급감했다.

창안포드의 중국 내 판매상은 900곳에 달하는데 한 곳에서 고작 14대씩을 판 셈이다.

창안포드의 작년 판매량은 37만7천700대로 전년 대비 54.38 감소했다.

미중 무역전쟁이 발발한 작년 창안포드의 판매량이 급감했는데 올해 들어서 감소 폭이 더욱 커진 것이다.

작년부터 뚜렷해진 중국 내 포드 브랜드 차량 판매 부진 현상을 두고 업계에서는 미중 갈등 확대 추세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창안포드가 미중 합작 법인이기는 하지만 중국 소비자들의 미국에 대한 전반적인 이미지 악화가 포드 상표가 달린 현지 생산 차량의 소비에도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실제로 작년 중국의 승용차 판매량은 6.0% 감소한 데 비해 창안포드의 판매 감소 폭은 유난히 컸다.

과거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열도 분쟁이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등으로 중일관계, 한중관계가 악화됐을 때도 중국 관영 매체들의 선동 속에서 상대국 자동차 판매량이 급감한 선례도 있다.

이런 실적 악화 추세 속에서 창안포드가 중국 규제 당국으로부터 반독점법 위반으로 1억6천280만 위안(약 277억원)의 벌금을 맞은 것은 포드에 더욱 큰 악재가 될 전망이다.

중국 정부의 이번 조치가 미국 기업을 향한 사실상의 첫 구체적 보복 조치라는 해석이 나오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향후 중국 소비자들이 포드 브랜드 차량 구매를 더욱 꺼리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