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이로울 때만 합의할 것” 막판 수싸움
한국·日 등 FTA 재협상 결과 ‘자화자찬’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의 1단계 무역협상 합의를 앞두고 강온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무역 합의가 임박했다면서도 타결이 안 되면 대규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냉온탕식 발언을 쏟아 내며 막판 수싸움을 벌이고 있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뉴욕에서 가진 ‘뉴욕경제클럽’ 연설에서 미중 간 1단계 무역 합의가 임박했다며 “그들(중국)은 죽도록 합의를 하고 싶어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국을 향해 “합의를 할지 말지는 우리가 결정한다”며 “중요한 1단계 대중 무역 합의가 곧 이뤄질 수 있다. 단지 그것이 미국과 우리의 노동자, 위대한 기업들을 이롭게 할 때만 합의를 받아들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합의가 무산되면 중국산 제품에 대해 “매우 큰 규모로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그러면서 “이는 우리에게 못되게 구는 다른 나라들에도 적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중은 앞서 지난달 10~11일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을 갖고 1단계 합의를 이끌어 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미국과 단계적 관세 철회에 합의했다고 밝히자 “아무것도 합의하지 않았다”고 부인하는 등 1단계 무역 합의를 둘러싸고 미중 간 막판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이날 연설에서 지난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을 두고 자신의 무역정책 성과라고 공치사를 늘어놨다. 그는 중국과 일본, 캐나다, 멕시코 등과의 무역협상 성과를 언급하던 중 한국과의 FTA 개정도 그 사례로 꼽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 전임 (버락 오바마) 정부의 실패한 무역 합의를 재협상했다”며 “새 합의로 미 기준에 따라 한국에 팔릴 수 있는 미 자동차 수를 2배로 늘리고 ‘치킨세’(소형트럭 25% 관세 별칭)로 알려진 미 수입 관세를 유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서명된 개정안에 미 자동차 안전기준을 준수하면 한국 안전기준도 충족한 것으로 간주해 한국이 수입하는 물량을 연간 2만 5000대에서 5만대로 늘리기로 한 부분, 미국이 2021년 철폐 예정이던 한국산 픽업트럭 관세를 2040년까지 유지하기로 합의한 부분 등을 언급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9-11-14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