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 도구 취급, 더는 못 참아”… ‘늦깎이 유학’ 탈출하는 中여성

“출산 도구 취급, 더는 못 참아”… ‘늦깎이 유학’ 탈출하는 中여성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4-06-25 04:03
수정 2024-06-25 04: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탈중국’ 선택한 30대 여성 급증

미혼 여성에 대한 사회 압박 커
경기 침체·정치적 통제도 한몫
미국·캐나다 등으로 ‘엑소더스’
이미지 확대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 연합뉴스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
연합뉴스
1년 전 프랑스 부르고뉴에 정착한 클라우디아 커(35)는 아침 일찍 차 한잔을 마시며 여유를 즐기는 유럽식 생활에 매료됐다. 6년간 중국 상하이 패션업계에서 열일하던 그가 ‘중국 탈출’을 결심한 건 2022년 4~6월 코로나19 도시 봉쇄를 겪고 난 때였다. 주민들의 삶은 피폐해지는데도 당국은 대책 없이 ‘견디라’고만 하는 데 질려버린 어머니가 “너라도 새 삶을 찾아 떠나라”고 권유했다. 고민 끝에 부르고뉴 경영대학원 MBA 과정에 입학한 커는 당분간 ‘결혼과 출산’을 선택지에서 지웠다. 그는 “지금의 선택에 후회는 없다”고 주저 없이 말했다.

커의 사례처럼 중국을 떠나 서구세계로 ‘늦깎이 유학’을 떠나는 30대 여성이 급증하고 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4일 보도했다. ‘미혼 여성’에 대한 뿌리 깊은 편견과 중국의 경기 침체, 갈수록 강화되는 정치적 통제, 직장 내 성차별과 연령차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현재 중국 소셜미디어(SNS) 샤오훙슈(중국판 인스타그램)에는 30대 전후 여성을 뜻하는 다링(大齡)과 유학을 접목한 해시태그가 5600만건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는 등 폭발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부르고뉴의 일상을 SNS로 공유하는 커 역시 유학 조언을 구하는 여성들에게 2000개가 넘는 메시지를 받았다.

늦깎이 유학은 중국을 탈출하려는 (젊은이들의) 열망을 반영했다고 해서 ‘탈출학’(Run學)이라고도 불린다. 말이 유학이지 실제로는 합법적으로 중국을 떠날 수 있는 수단으로 본다는 것이다. 중국 여성들이 유학을 원하는 곳은 미국과 유럽, 캐나다 등 여성 인권이 존중받는 나라들이다.

여성들에게 중국의 환경은 결코 우호적이지 않다. 지난해 시진핑 국가주석은 제13차 중국 여성대회에서 “여성들이 ‘좋은 가족의 전통’을 이야기해야 한다. 국가 발전을 위해 결혼과 출산 문화를 적극적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성의 존재 이유를 출산과 육아에서 찾으려는 사고방식이다.

베이징동계올림픽이 열리기 직전인 2022년 1월 장쑤성 쑤저우의 작은 마을에서 20년 넘게 목줄에 묶여 살아가는 여성의 동영상이 퍼져 논란이 됐다. 남편의 학대가 밝혀져 공분이 쏟아졌지만 중국 당국은 관련 동영상을 삭제하기에 급급했다. 중국 언론 역시 사건을 여성 장애에 초점을 맞춰 시선을 돌렸다.

여기에 중국 ‘미투 운동’(나도 피해자다)을 촉발한 황쉐친도 국가 권력 전복 혐의로 5년형을 선고받았다. 이런 요인들이 유능한 중국 여성들을 탈출하게 만든다고 SCMP는 분석했다.
2024-06-2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