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 말자, 함께 살자… 反韓 반대” 도쿄 대행진

“차별 말자, 함께 살자… 反韓 반대” 도쿄 대행진

입력 2013-09-23 00:00
업데이트 2013-09-23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민 1000여명 신주쿠 집결 “우익들 혐한 시위 부끄럽다 혐오 발언 규제법 만들자”

“(이웃과) 함께 살아가자! 차별은 그만두자!”

휴일 인파가 북적이는 도쿄 신주쿠 한복판에 흥겨운 랩이 울려 퍼졌다. 최근 기승을 부린 ‘혐한 시위’와 ‘헤이트(혐오) 스피치’를 반대하고 평화를 기원하는 ‘차별철폐 도쿄대행진’이 22일 오후 열린 것이다.
친하게 지내요
친하게 지내요 22일 일본 도쿄 신주쿠에서 혐한 시위를 비롯한 각종 차별에 반대하기 위한 ‘차별철폐 도쿄대행진’에 참가한 사람들이 검은색 정장에 ‘친하게 지내요’, ‘차별에 반대한다’ 등의 구호가 적힌 플래카드를 들고 거리를 걷고 있다.


한국인에 대한 증오를 스스럼없이 표출하는 재특회(재일 특권을 용납하지 않는 모임) 등 국적과 인종, 성에 따른 차별이 일본 내에 늘고 있는 분위기를 걱정하는 시민들이 모여 ‘인종차별을 반대하는 모임’을 만들고 행진을 기획한 것이다. 마틴 루서 킹 목사가 주도한 1963년 워싱턴 평화대행진이 흑인 인권운동의 시작이 된 것처럼 도쿄대행진도 조화로운 일본을 만들기 위한 첫걸음이 되기를 바란다는 것이 이들의 목소리다.

이날 모인 시민 1000여명은 신주쿠 주오 공원에서 출발해 한인 상가가 밀집해 있는 신오쿠보 등 신주쿠 일대를 2시간 동안 행진했다. 50년 전 워싱턴에서 그랬던 것처럼 남성과 여성 모두 검정색 정장을 맞춰 입고 ‘차별에 반대하는 도쿄대행진’이라는 대형 플래카드를 들고 거리를 천천히 걸었다. 킹 목사의 ‘내게는 꿈이 있습니다’(I have a dream)는 명연설을 본떠 이를 외치기도 했다. 일부는 간이 악단을 꾸려 미국 인권운동을 상징하는 노래 ‘우리 승리하리라’(We shall overcome)를 연주하며 걸었고, 꽹과리와 북도 합세해 시종일관 흥겨운 분위기를 자아냈다.

한 시민은 ‘어떤 아이든 우리 아이’라는 피켓을 들고 있었다. 극우단체 ‘재일특권을 용납하지 않는 시민모임(재특회)’이 도쿄한국학교에 재정 지원을 중단할 것을 도쿄도에 요구한 것을 꼬집은 것이다. 이들이 행진을 이어가는 동안 주변 행인들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사진을 찍거나 손을 흔들어 주는 등 호의적인 반응이 대다수였다. 당초 우익 단체들이 반대 시위를 벌일 것이라는 우려도 있었으나 이날 행진에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이날 자발적으로 참가했다는 회사원 아리나가 미야코는 “한국인 친구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본인으로서 차별이 점점 늘어나는 움직임을 가만히 두고 볼 수 없어 혼자 참가했다”고 말했다. 다른 참가자 이쿠모리 요코(회사원) 역시 재특회 등이 주도하는 반한 시위에 관해 “정말 부끄럽게 생각한다”면서 “차별하고 싶지 않다고 생각하던 차에 이런 행사가 열려서 정말 기쁘다”고 말했다.

도쿄대행진을 기획한 실행위원회 일원인 김 노부카쓰는 “일본에 재특회 같은 세력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런 세력에 반대하는 사람 역시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싶어서 올해 초부터 도쿄 대행진을 기획했다”면서 “향후 일본 정부에 유엔 인종차별철폐조약을 성실히 이행할 것을 촉구하고 혐한 헤이트 스피치를 규제하는 법규를 만들도록 문제를 제기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글 사진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2013-09-23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