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파키스탄 핵무기 개발 투자”

“사우디, 파키스탄 핵무기 개발 투자”

입력 2013-11-09 00:00
업데이트 2013-11-09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BBC 보도… 이란 견제 의도

중동의 석유 부국 사우디아라비아가 파키스탄의 핵무기 프로젝트에 투자해 왔으며 이를 통해 언제든 핵무기를 손에 쥘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는 주장이 나왔다. 중동의 경쟁국인 이란의 핵무기 개발을 견제하려는 조치로 풀이되지만 이를 계기로 역내 핵 군비 경쟁이 촉발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지난 6일(현지시간) 영국 BBC가 방송한 ‘뉴스나이트’에 따르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한 고위 관계자는 올 초 BBC에 “파키스탄이 사우디를 위해 핵무기를 만들고 있으며 사우디가 배송을 기다리는 상태라는 첩보 보고서를 봤다”고 밝혔다.

아모스 야들린 전 이스라엘 군사정보국 국장도 지난달 스웨덴에서 열린 한 회의에서 “이란이 핵무기를 가지면 사우디는 한 달도 기다리지 않을 것”이라면서 “당장 파키스탄으로 가서 자신들이 대가를 지급한 무기를 가지고 올 것”이라고 말했다고 BBC는 전했다.

이슬람교의 다수파인 수니파 종주국을 자처하는 사우디는 이슬람 소수파 시아파의 대표인 이란과 ‘중동의 맹주’ 자리를 놓고 오랫동안 경쟁을 벌여 왔다. 이 때문에 사우디 안에서는 “이란의 핵 보유에 맞서 우리도 핵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특히 최근 중도파인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 취임 후 이란과 미국의 관계가 30년 만에 화해 분위기로 바뀌면서 사우디의 핵무기 보유 시도가 가시화되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실제 사우디의 압둘라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국왕은 데니스 로스 미국 중동 특사를 통해 “이란이 만약 ‘문턱’(핵무기 보유)을 넘는다면 우리도 가만히 있지 않겠다”는 경고 메시지를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 수차례 전달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사우디가 이미 수십년 전부터 핵무기 보유 프로젝트를 시행해 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우디는 1980년대 말 중국으로부터 CSS-2 탄도미사일을 수입했으며 지난해에는 핵탄두 장착이 가능한 CSS-5 탄도미사일을 사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었다. 게리 사모어 미 백악관 대량살상무기정책 조정관은 BBC와의 인터뷰에서 “사우디가 (핵무기 도입에 대해) 파키스탄과 일정 부분 공감대를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극단적인 상황이 닥치면 사우디가 파키스탄에 핵무기를 요구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최재헌 기자 goseoul@seoul.co.kr

2013-11-09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