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성 아쉽지만 중독성 강해
우리에게 기타만큼 친숙한 악기가 또 있을까. 공간의 제약이 없다는 간편함과 선율과 반주를 한 번에 할 수 있다는 풍부함은 기타만이 가진 장점 중의 장점이다.기타를 ‘움직이는 오케스트라’라고 부르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작은 음량과 레퍼토리의 부족, 표현력의 한계로 인해 클래식 음악계에서 기타의 인기는 예전만 못하다. 상대적으로 ‘음악성이 부족한 악기’라는 핀잔도 들어야 했다.
하지만 보티첼리의 연주는 보다 다채로운 음색으로 사계를 표현해 낸다. 4대가 아니라 마치 10대 이상의 기타가 연주하는 듯하다. 다채롭지만 균형은 잘 잡혀 있다. 반주를 담당하는 기타는 화려한 울림 소리로 곡의 밑바탕을 깔아주고, 주된 선율은 깔끔하게 정제시킨다. 서로간의 질서정연한 호흡으로 흔들림이 없다. 템포(빠르기)도 적당하다.
빠른 악장의 경우 묘기에 가까운 기교로 내면적 깊이가 약해 보일 수 있다. 느린 악장은 바이올린 특유의 서정성이 잘 살아나지 않아 아쉬움이 남는다. 하지만 이 곡이 바이올린을 염두에 두고 작곡된 곡이기에 같은 잣대를 들이대는 것은 무리가 있다. 출중한 기타 솜씨를 순간순간 감탄하며 듣는 것으로 족하다.
은근히 중독성도 있다. ‘봄’을 듣고 나면 ‘여름’이 궁금해지고, ‘여름’이 끝나면 ‘가을’을 알고 싶고, ‘가을’이 지나면 ‘겨울’에 호기심이 생긴다. 곡의 중간에 끊기가 쉽지 않다. 느긋하게 클래식을 듣기 어려운 사람들도 편안히 즐길 만하다. 선율이 귓가에 척척 달라붙는 묘한 매력이 놀랍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01-0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