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철의 영화만화경] 회오리 바람

[이용철의 영화만화경] 회오리 바람

입력 2010-02-16 00:00
수정 2010-02-1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춘기 소년소녀 맑고투명한 설렘

사귄 지 100일 된 태훈과 미정은 강원도의 겨울바다로 기념여행을 떠난다. 오붓한 시간을 보내며 행복을 느낀 것도 잠시, 집으로 돌아온 두 사람은 곤경에 처한다. 부모들은 고등학교 2학년생의 외출을 심각한 사건으로 취급하고, 결단코 분을 삭이지 못한 소녀의 아버지는 어리둥절해하는 소년에게 각서를 쓰라고 강요한다. 그날 이후 미정이 점차 거리를 두지만, 그럴수록 태훈의 마음은 더욱 열렬하게 타오른다. 보다 못한 엄마가 휴대전화를 빼앗자 태훈은 말다툼을 벌이다 홧김에 집을 나온다.

‘회오리 바람’은 18살 소년의 성장기다. 초록빛 청춘의 시기에 막 돌입한 소년은 느긋하게 세상을 바라볼 여유가 없다. 사랑에 빠졌기 때문이다.

계산할 줄 모르는 청춘과 눈을 멀게 하는 첫사랑이 서로의 몸으로 스며들었으니, 소년은 나방이 불에 뛰어들 듯이 오직 눈앞의 사람에게 충실할 따름이다. 태훈은 미정에게 “네가 걱정하는 만큼, 내가 믿음을 줄게.”라고 말한다. 그건 먼 미래를 기약하는 다짐이 아니다. 바깥의 현실을 잊은 채 자신의 현실에만 열중하는 자의 서툰 바람이다.

오토바이에 오른 소년의 주행을 줄곧 응시하면서 시작하는 ‘회오리 바람’은 내내 긴 호흡을 유지한다. 긴 시간 동안 멈추어 섰다가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카메라는 작가영화를 탐하는 작자들이 종종 취하는 자세인데, ‘회오리 바람’의 경우는 조금 다르다. 연출을 맡은 장건재는 자기가 실제로 겪은 이야기를 언젠가 영화에 꼭 담고 싶었다고 말한다. ‘회오리 바람’의 신중한 발걸음은, 고통스레 빠져나온 시간을 곰곰이 되새기는 감독이 매 장면마다 애정을 기울인 결과다.

기성세대가 만든 10대의 사랑이야기는 인물을 대상으로 삼기 마련이어서, 인물이 낭만적인 드라마의 주인공으로 그려지거나 어처구니없이 희화화되곤 한다. 이 영화의 가치는 그런 함정에서 벗어난 데 있다. 감독은 섣부른 과장에서 멀리 떨어져 성실한 묘사(와 재현)에 치중했다. 영화 속 세상은 이유 없이 잔혹하지 않으며, 그렇다고 해서 마냥 순진한 시선으로 세상을 대하는 것도 아니다. 맑고 담담한 사실주의영화란 점에서, 몇 해 전 등장해 독립영화의 아름다운 전범이 되었던 ‘마이 제너레이션’이 떠오를 법하다.

그때 거기가 아니라면 더 감동을 자아낼 수 없는 순간이 있다. 소년의 심장을 가로지른 뜨거운 시간을 기억하는 ‘회오리 바람’은 바로 그 순간을 불러온다. 아마 그래서일 것이다,

소년과 소녀가 어느 저녁 보았던 푸르스름한 하늘같이, 소년과 소녀가 몸을 담갔던 차가운 바닷물같이, 소년과 소녀의 머리로 불던 세찬 바람같이, 소년과 소녀가 나눴던 예쁜 속삭임같이, 그들의 들뜬 설렘을 어루만져 감쌌던 모든 것들이 관객에게도 오롯이 전달된다.

지난해 주목받았던 한 미국밴드의 이름은 ‘순수한 마음으로 존재하는 것의 아픔’이다. 예전에는 순수하므로 상처를 입는다고 생각했는데, 어쩌면 고통을 느끼기에 순수한 게 아닌가 싶다. 우리는 자라면서 때를 탐에 따라 순수성을 상실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진실은, 고통에 관한 타성으로 인해 순수성을 잠시 잠재웠을 뿐이다. 아픈 사랑과 혼돈한 상황을 부여안은 태훈은 고통에 무감각해진 자의 가슴 한쪽을 살포시 건드린다. 그리고 고사할 뻔했던 순수성은 촉촉한 물기를 머금어 생명을 회복한다.

영화평론가
2010-02-16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