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알 참뜻 기리며

씨알 참뜻 기리며

입력 2010-04-21 00:00
업데이트 2010-04-21 0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학술지 ‘함석헌연구’ 창간… 기념사업 활발

민권운동가이자 기독교사상가였던 함석헌(1901~1989) 선생에 대한 재조명 작업이 활발하다. 씨알학회, 함석헌학회가 출범한 데 이어 함석헌기념사업회도 학술지를 창간했다.
이미지 확대
함석헌 선생
함석헌 선생


함석헌기념사업회(이사장 문대골)는 함석헌이 만든 월간지 ‘씨알의 소리’ 창간 40주년을 맞아 학술지 ‘함석헌 연구’를 간행했다고 20일 밝혔다. 해마다 4월과 10월 두 차례 발간되는 반년간지로, 투고한 사람의 주장과 그에 대한 비평까지 묶어서 출간해 논쟁을 유도해 낸다는 복안이다. 창간호에는 함석헌의 사상을 오랫동안 연구해왔던 김조년 한남대 사회학과 교수, 김경재 한신대 신학과 명예교수, 김상봉 전남대 철학과 교수, 송기득 전 목원대 신학과 교수의 글이 실렸다.

기념사업회의 문제의식은 씨알의 사상을 어떻게 오늘에 되살릴까에 있다. ‘씨알’이란 표현은 본래 함석헌의 스승인 다석 류영모(1890~1981)가 ‘대학(大學)’의 ‘민(民)’자를 풀이하면서 썼으나, 함석헌에 의해 더 널리 알려졌다. 함석헌의 씨알사상은 1970년대 분출된 민중론의 밑바탕이 됐다고 평가받았으나 1980년대 사회과학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지나치게 영성적이고 관념적이라는 이유로 외면당했다.

때문에 책 말미에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함석헌 연구물 목록과 함석헌 연보가 눈길을 끈다. 김조년 교수는 “잡지 ‘씨알의 소리’와 학술지 ‘함석헌 연구’를 통해 씨알사상을 널리 알리는 것이 목표”라면서 “특히 연구 논저 목록을 정리해뒀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 크게 도움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념사업회는 23일 오후 6시 서울 연지동 한국기독교회관 강당에서 ‘씨알은 왜 혁명을 해야 하는가’라는 주제로 기념강연회를 연다. 씨알사상을 연대기 순으로 정리하는 작업이다.

일각에서는 함석헌 연구가 지나치게 분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지난해 3월 씨알학회, 지난 16일 함석헌학회가 잇따라 설립됐기 때문이다. 씨알학회는 함석헌을 포함한 한국의 근·현대 철학자들에 대한 연구를, 함석헌학회는 함석헌에 대한 학제적 연구를 내세우고 있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04-21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