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년대 조선 전기 여성 미라 발굴

1500년대 조선 전기 여성 미라 발굴

입력 2010-05-13 00:00
업데이트 2010-05-13 1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기 오산 공사현장서…복식 완벽,양호한 상태정6품 사대부 가문 부인 추정

임진왜란 이전인 1500년대 중반 생몰(生歿)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시대 여성 미라가 발굴됐다.
이미지 확대
임진왜란 이전 여성 미라 발굴 경기 오산 가장2일반산업단지 예정지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회곽묘(灰槨墓). 회곽 안에 안치한 목관에서는 1500년대 임진왜란 이전 조선시대 여성 미라가 발견됐다. 목관 덮개에는 ‘宜人驪興李氏之柩(의인여흥이씨지구)’라는 무덤 주인공을 밝히는 명정이 있었다. 사진은 이곳에서 발굴된 운아삽을 비롯한 유물들. 2010.5.13 << 사회부 기사참조, 서경문화재연구원 제공 >>  연합뉴스
임진왜란 이전 여성 미라 발굴
경기 오산 가장2일반산업단지 예정지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회곽묘(灰槨墓). 회곽 안에 안치한 목관에서는 1500년대 임진왜란 이전 조선시대 여성 미라가 발견됐다. 목관 덮개에는 ‘宜人驪興李氏之柩(의인여흥이씨지구)’라는 무덤 주인공을 밝히는 명정이 있었다. 사진은 이곳에서 발굴된 운아삽을 비롯한 유물들. 2010.5.13 << 사회부 기사참조, 서경문화재연구원 제공 >>
연합뉴스


[포토]1500년 임진왜란 이전 여성 미라 사진 더 보러가기

 서경문화재연구원은 이달 초 경기도 오산 가장2일반산업단지 공사 현장에서 문화재 시·발굴 조사 중 조선시대 회곽묘(灰槨墓)가 나왔다고 13일 밝혔다.

 회곽묘 안의 내관(목관) 덮개에는 ‘宜人驪興李氏之柩(의인여흥이씨지구)’라고 써있다.‘의인’이라는 호칭은 발견된 미라가 남편 품계에 따라 정6품 작위를 받은 사대부집 가문의 부인이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미지 확대
임진왜란 이전 여성 미라 발굴 경기 오산 가장2일반산업단지 예정지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회곽묘(灰槨墓). 회곽 안에 안치한 목관에서는 1500년대 임진왜란 이전 조선시대 여성 미라가 발견됐다. 목관 덮개에는 ‘宜人驪興李氏之柩(의인여흥이씨지구)’라는 무덤 주인공을 밝히는 명정이 있었다. 2010.5.13 << 사회부 기사참조, 서경문화재연구원 제공 >> 오산=연합뉴스
임진왜란 이전 여성 미라 발굴
경기 오산 가장2일반산업단지 예정지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회곽묘(灰槨墓). 회곽 안에 안치한 목관에서는 1500년대 임진왜란 이전 조선시대 여성 미라가 발견됐다. 목관 덮개에는 ‘宜人驪興李氏之柩(의인여흥이씨지구)’라는 무덤 주인공을 밝히는 명정이 있었다. 2010.5.13 << 사회부 기사참조, 서경문화재연구원 제공 >>
오산=연합뉴스


 관에서는 백자유개호(白瓷有蓋壺),운아삽(상여에 그려진 문양),목재빗,명정,뒤꽂이(쪽진머리 뒤에 덧꽂는 비녀 이외 장식품) 등 유물 10여점이 나왔는데 운아삽은 지금까지 확인된 것 중 보존상태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미라가 발견된 묘는 봉분이 없는 상태였으며,인근에 남편의 묘가 있었다.

 남편 묘는 아직 발굴하지 않았지만 부부 미라가 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연구원 측은 지난 8일 김우림 울산박물관추진단장,김한겸 고려대 교수팀(미라담당),권영숙 부산대 교수팀(복식담당)과 함께 현장을 찾아 묘를 확인하고 고대 구로병원 부검실에서 미라를 조사했다.
이미지 확대
임진왜란 이전 여성 미라 발굴 경기 오산 가장2일반산업단지 예정지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회곽묘(灰槨墓). 회곽 안에 안치한 목관에서는 1500년대 임진왜란 이전 조선시대 여성 미라가 발견됐다. 목관 덮개에는 ‘宜人驪興李氏之柩(의인여흥이씨지구)’라는 무덤 주인공을 밝히는 명정이 있었다. << 사회부 기사참조, 서경문화재연구원 제공 >> 연합뉴스
임진왜란 이전 여성 미라 발굴
경기 오산 가장2일반산업단지 예정지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회곽묘(灰槨墓). 회곽 안에 안치한 목관에서는 1500년대 임진왜란 이전 조선시대 여성 미라가 발견됐다. 목관 덮개에는 ‘宜人驪興李氏之柩(의인여흥이씨지구)’라는 무덤 주인공을 밝히는 명정이 있었다.
<< 사회부 기사참조, 서경문화재연구원 제공 >>
연합뉴스


 묘 구조와 복식으로 미뤄볼 때 이번에 발견된 미라는 임란 이전 조선시대 여성으로 추정된다는 결론이 나왔다.

 미라는 각종 염습의 26점과 보공품 10여점에 싸여 있었으며,신장은 조선시대 여성 평균키인 154㎝ 정도였다.

 의복은 액주음포(腋注音袍),목판깃,안감 한지심 등 임란 이전 시기 복식의 특성을 고스란히 갖췄다.

 또 완전한 머리 모양을 갖춘 상태여서 임란 이전 조선시대 전기 여성의 머리 형태를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김한겸 교수는 “폐의 좌우가 뒤틀려있고 얼굴과 몸 전체가 야위어있는 것을 볼 때 만성질환을 앓다가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부산대팀은 약 1년간 보존처리를 거쳐 분야별로 연구를 진행해 보고서를 작성할 예정이다.고려대팀은 미라에서 채취한 각종 샘플 등으로 세균을 배양해 무균 상태에서 미라가 된다는 가설이 맞는지 확인하는 등 병리학적 연구를 진행한다.

 김우림 단장은 “수십 차례 현장에 나오더라도 이 정도로 완벽한 복식과 양호한 상태의 미라를 만나기 힘들다”며 “이번에 발견된 미라가 조선 전기시대 생활사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