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교회가 올해로 한국 선교 110주년을 맞는다. 각종 기념 행사를 앞두고 지난 17일 서울 아현동 성 니콜라스 대성당에서 기자들과 만난 정교회 한국대교구장 암브로시오스(59) 대주교는 “정교회를 신종 교회나 이단이라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정교회는 2000년의 역사를 가진 유서 깊은 교회”라면서 “한국에 정교회를 바르게 알리는 데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암브로시오스 정교회 한국대교구장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암브로시오스 정교회 한국대교구장
한국 정교회는 1900년 러시아의 한 선교사가 들어오면서 시작됐다. 하지만 곧 이어 러·일 전쟁이 터지고 일본의 식민지배가 계속되면서 맥이 끊겼다. 이후 미미한 교세를 이어오다 1975년 소티리오스 대주교가 한국에 들어온 뒤 조직화됐다. 지금은 3000~4000명의 신자와 7명의 한국인 사제를 두고 있다.
그리스에서 태어난 암브로시오스 대주교는 2대 교구장으로 2008년 착좌했다. 소티리오스 대주교와의 인연으로 1998년 한국 선교활동을 시작했다.
10여년 한국생활을 해온 그는 “한국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자살률”이라면서 “사람들이 하느님의 선물인 생명의 소중함을 제대로 모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교회는 가톨릭과 마찬가지로 신앙을 지키기 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살을 종교적인 ‘죄’로 규정한다.
110주년 기념행사도 이 문제를 다룬다. 오는 29일 성 니콜라스 대성당에서 ‘친구인가, 적인가? 죽음의 신비에 대한 정교회의 신학’이란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을 연다. 여러 나라 정교회 연구자들이 발제자로 나서며 천주교, 유교 등 다른 종교 연구자들이 토론자로 참가한다.
각국 성직자들이 참석하는 성찬 예배와 그리스 비잔틴 성가대 공연 등도 110주년 기념행사로 준비 중이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0-05-19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