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20대, 희망인가 절망인가

대한민국 20대, 희망인가 절망인가

입력 2010-05-25 00:00
업데이트 2010-05-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tvN 25일 ‘백지연의 끝장토론’

“분노도 열정도 연대도 모르는 20대여, 난 너희를 포기한다.”

이미지 확대
tvN ‘백지연의 끝장토론’ tvN 제공
tvN ‘백지연의 끝장토론’
tvN 제공


김용민 시사평론가의 칼럼 ‘20대 포기론’의 일부다. 김 평론가의 주장은 2007년 20대 총선투표율이 24%에 불과했다는 사실과 20대 참여율이 저조했던 2008년 촛불집회에서 시작한다. 사회의 주요현안에 대해 무관심과 침묵으로 일관하며 경력쌓기에 만 몰두하는 20대에 대해 날선 비판을 하고 있다.

물론 그의 주장에 대한 반박도 만만치 않다. “최악의 취업률과 신자유주의의 무한 경쟁 등 20대가 처한 현실을 전혀 모르는 음해”라는 옹호론이 그것.

tvN ‘백지연의 끝장토론’은 논쟁이 끊이지 않는 20대 역할론에 대한 찬반 난상토론을 벌인다. ‘20대 절망론’, ‘20대 개XX론’ 등 다양한 말들이 나오고 있는 현실 속에서 20대는 과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방향을 제시한다.

전문가 패널에는 김 평론가가 출연한다. 그는 토론이 시작되자 “20대 비판에 나섰다가 평생 먹을 욕을 한꺼번에 다 먹었다. 그래도 할 말은 하자.”고 당당히 주장했다. 홍윤기 동국대 철학과 교수도 김 평론가와 뜻을 함께했다.

20대를 옹호하는 패널로는 ‘한국인은 무엇으로 사는가’의 저자이자 철학자인 탁석산이 참석한다. 그는 “지금은 평화의 시대다. 20대에게 과거 방식의 투쟁을 바라지 말라.”고 20대의 입장을 강하게 대변했다. 또 ‘88만원 세대’의 저자인 우석훈씨는 “20대 비판하는 386, 자신의 세대부터 먼저 성찰하라.”고 기성 세대를 향해 따끔히 충고하기도 했다. 시민토론단으로는 대한민국의 평범한 20대 60명을 초대해 20대의 ‘진짜 절망’과 ‘진짜 희망’은 무엇인지 뜨거운 토론을 벌인다.

토론은 ‘20대 절망인가 희망인가’, ‘20대 보수화 어떻게 볼까’, ‘386 책임론 vs 20대 책임론’으로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 진행한다. 특히 마지막 주제에 대해서는 ‘20대 문제는 386의 정치, 경제적 실패가 원인’이라는 측과 ‘386은 20년간 피 흘려 민주화에 헌신했다. 언제까지 386만 나서야 하나.’로 나누어 격론을 벌인다. 25일 밤 10시 30분 방송.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05-25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