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직계제자’ 테스터 교수 10일 경희대서 내한강연

‘마지막 직계제자’ 테스터 교수 10일 경희대서 내한강연

입력 2010-07-07 00:00
업데이트 2010-07-07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육·실업 등 공적문제 개인책임 여기는 사회 ‘바우만의 역설’ 현실로

오는 10일 오후 3시 경희대 경영대 오비스홀에서 경희대 사회학과와 한국문화사회학회 공동 주최로 키이스 테스터 영국 헐 대학 교수의 강연회가 열린다. 강연회 제목은 ‘바우만의 액체근대성의 사회학에 대하여’(On Zygmunt Bauman‘s Sociology of Liquid Modernity)다.

폴란드 태생의 유태인인 바우만(85)은 1989년 홀로코스트(유대인 집단학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세계적인 석학으로 올라섰다. 그 뒤 1990년대 포스트모더니즘 연구에 몰입하다 2000년대 들어 포스트(Post-) 개념보다 액체(Liquid) 개념을 내세우기 시작했다.

이미지 확대
지그문트 바우만
지그문트 바우만
●“액체근대 통해 사적·공적 영역 붕괴”

바우만은 액체근대를 통해 모든 것이 ‘유동’(流動)하는 현대사회에서 사적인 공간이 공적인 영역을 침탈하는 것을 걱정하는 특이한 학자다. 서구 좌파 지식인들은 대개 공적인 영역이 사적인 영역을 압박해 개인의 자유를 침탈하는 문제를 고민하는 편이다. 탈민족주의 등의 담론들은 이런 흐름이다.

바우만의 접근법은 다르다. 나치즘과 스탈린으로 상징되는 전체주의 공포 때문에 개인의 자유 침탈을 우려하는 흐름이 생겨났지만, 전반적으로 보면 경계가 차츰 사라지는 액체화 경향이 더 큰 문제라는 주장이다. 근대 자체가 종교와 신분의 차이를 녹이는 데서 출발했듯 모든 소속감을 박탈하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어 궁극적으로는 허허벌판에 공허하게 서 있는 개인에게 실존적 불확실성만 안겨주고 있다는 것이다.

그 공허함을 채우는 것은 소비뿐이라는 게 바우만의 진단이다. 1990년대 초반 등장한 ‘신세대’, ‘X세대’ 등에서부터 최근의 ‘골드 미스’에 이르기까지 마케팅 업체들이 지어낸 이런저런 분류들도 결국 지갑을 열면 소속감을 제공해 주겠다는 달콤한 제안과 다름없는 것이다. 대처리즘의 저 유명한 “사회는 없다.” 선언처럼 이제 뭘 하든 개인의 문제요, 개인의 책임이 되어버렸다. 개인 역시 사회에 대해 기대하는 바가 없다.

●“캠핑장 불편 개선 요구않고 체념”

바우만은 이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캠핑장의 비유’를 끌어왔다. 캠핑을 가면 집을 떠나온 마당에 이런저런 불편함이 있기 마련. 캠핑장 관리사무소에 불편함을 해소해 달라고 요구하지만, 다음날이나 다다음날 떠날 때가 되면 무슨 일이 있었냐는 듯 떠나고 만다. 캠핑장 개선이라는 주제에 대해서는 별다른 관심이 없거나 체념해 버린다.

우리나라도 별반 다르지 않다. 영화 ‘내 깡패 같은 애인’에서 깡패 동철(박중훈)은 취업준비생 세진(정유미)에게 “프랑스는 취업 안되는 게 정부 책임이라며 데모까지 하는데 우리나라 애들은 그게 다 지 탓인 줄 알아. 다 정부가 잘못해서 그런 건데. 당당하게 살아.”라고 말한다. 스펙쌓기 무한경쟁에 대한 문제제기보다 그 경쟁에서 살아남기를 내면화한 우리네 모습에 대한 적나라한 성토다.

시키는 대로 학교 다니면서 열심히 공부해 토익 점수와 학점을 이만큼이나 쌓아놓은 내가 뭘 잘못했느냐고, 회사 간부라는 당신들은 대학시절 나처럼 공부해서 점수 따놓은 것이 있었느냐고 되물어 볼 법도 한데 아무도 그러지 않는다.

부동산과 교육 문제에 한숨 쉬며 걱정하면서도, 연대해서 해결할 생각보다는 십몇년도 넘은 내 아파트를 얕은 페인트칠로 교묘히 이름 바꾸는 데 열중이다. ‘나만 아니면 돼.’라고 외치는 사회인 셈이다.

테스터 교수는 바우만의 마지막 직계제자이자 바우만 해석의 권위자로 꼽힌다. 내한강연 주제는 ‘바우만의 역설’이다. 토론자로는 바우만의 저작을 국내에 소개해온 정일준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가 나섰다.

사회를 맡은 송재룡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는 6일 “바우만은 인간이 추구해온 완벽한 사회에 대한 환상이 깨지면 또 다른 삶에 대한 성찰을 얻을 수 있으리라고 보지만 엄밀히 따지면 조금은 회의론 쪽에 가까운 학자”라면서 “최근 바우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그의 사상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07-07 21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