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출 1명+작가 3명 = 작품 3개…독특한 현대사 연작이 온다

연출 1명+작가 3명 = 작품 3개…독특한 현대사 연작이 온다

입력 2010-11-08 00:00
업데이트 2010-11-08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8일부터 21일까지 독특한 연작 무대가 서울 예장동 남산예술센터에서 벌어진다. 연작이라면 한팀이 여러 작품을 순차적으로 선보이거나 각 팀이 제출한 작품을 연속해서 한 무대에 올리는 경우가 많다. 남산예술센터가 이번에 시도하는 ‘공동 연작 프로젝트’는 연출 1명에 작가 3명이 팀을 꾸려 3개의 작품을 선보이는 색다른 방식이다.

이미지 확대
각기 다른 세 작품에 출연하는 배우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각기 다른 세 작품에 출연하는 배우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극단 작은신화의 최용훈 연출과 장성희·김명화·김민정 3명의 여성작가가 만났다.

이렇게 오르는 작품이 ‘세 자매 산장’(8~11일), ‘너의 왼손’(13~16일), ‘냄비’(18~21일)다.

주제도 묵직하다. 연출과 작가들이 겨누는 지점은 나이테를 불려가는 한국 사회에 여전히 옹이처럼 박혀 있는 현대사의 아픔이다.

‘세 자매 산장’은 1967년 ‘동백림 사건’을 다룬다. 설정은 안톤 체호프의 ‘세 자매’에서 따왔다. 독일 유학 중이던 오빠가 동백림 사건에 휘말려 “수챗물에 흘린 국수가락처럼 어딘가로 쓸려 가버린” 뒤 한 시골 산장에 유폐된 채 살고 있는 서령, 은령, 채령 세 자매의 이야기다.

‘너의 왼손’은 2007년 아프가니스탄에서 발생한 샘물교회 선교단 피랍사건을 다룬다. ‘낯선 이방인들이 선교라는 이름의 무기를 함부로 휘두르는 게 복음 전파이던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하나님은 이미 죽었다. 그 무덤 위에 십자가를 꽂고 교회가 살아남았을 뿐”이라는 등장인물 시복의 절규가 이를 보여준다.

마지막 작품 ‘냄비’는 제목 그대로 재료를 아무렇게나 막 섞어 먹는 도구인 냄비를 한국 사회에 대한 은유로 썼다. 작품 배경이 미군 부대 근방이니 메뉴가 부대찌개라 해도 되겠다. 극 자체도 다양한 직종의 다양한 인물이 등장하는 잡탕이다. 이 잡탕 같은 세계는 한국 현대사에 대한 총정리인 셈이다.

그래서 극 중 대사가 아려온다. “소신이 어디 있어. 어떻게 하면 살아남나 하는 피난민 근성밖에 없지.” 피난민들의 자기 연민으로 자글자글 끓던 냄비가 끓어 넘쳤을 때 충격적인 일이 벌어진다. 2002년 효선·미순양 사건을 배경에 깔았다.

이런 작품들이기에 굿이나 살풀이 따윈 없다. 화해, 용서 같은 단어를 쉽게 입에 올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작품들을 묶어주는 키워드는 ‘전쟁’, ‘모래’, ‘유령’이다.

이야기의 큰 배경으로 던져지는 전쟁 얘기는 그때의 참혹했던 ‘아픔’을, 무대 위에 설치된 모래는 진득하니 붙어 있는 것 같다가도 어느새 부스스 흩어져 사라져버리는 ‘기억’을, 극에 등장하는 유령은 다 잊었다 싶은 순간 문득 떠오르는 기억의 ‘되새김질’을 뜻한다. 세 작품은 먼 과거·과거·미래의 시간 순서대로 공연되고, 극 형식도 정극·드라마·일상극으로 차별성을 띤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11-08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