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은 왕권 통제 장치이자 토호의 권력욕 충족 통로 역할”

“성리학은 왕권 통제 장치이자 토호의 권력욕 충족 통로 역할”

입력 2010-11-10 00:00
업데이트 2010-11-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리학 하면 으레 ‘이기’(理氣)론을 떠올린다. 꼬리표도 항상 붙는다. 좋게 말해 심오하고 나쁘게 말해 쓸모없다는 것이다. 반론도 있다. 이기론이 중요하지만 ‘관념론 vs 경험론’이라는 서구 철학에 대응하려다 지나치게 부풀려졌다는 주장이다. ‘이황의 주리론 vs 이이의 주기론’이라는 이분법적 구도로 조선 성리학사가 정리된 것도 서구 철학의 영향을 받은 일본 학계의 관점이 그대로 옮겨졌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있다. 그렇다면 성리학의 진면목은 뭘까. 피터 K 볼 하버드대 중국사상사 교수의 ‘역사 속의 성리학’(김영민 옮김, 예문서원 펴냄)은 ‘학’(學) 개념에 집중한다. 볼 교수의 관점에서는 이와 기 중에 어떤 게 먼저 발(發)하고 어떤 게 그것 위에 승(乘)하든 간에, 혹은 기존 유불선을 종합한 것이든 단순히 유학에다 선불교를 적당히 물타기한 것이든 간에, 성리학의 역사적 의의는 ‘학’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왜 그런가.

이미지 확대
성리학에서 주목할 점은 학(學)을 익힌 지방 유지들에게 중앙 권력에 진출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줬다는 대목이다. 사진은 현대에 재현된 조선시대 과거시험 모습.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성리학에서 주목할 점은 학(學)을 익힌 지방 유지들에게 중앙 권력에 진출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줬다는 대목이다. 사진은 현대에 재현된 조선시대 과거시험 모습.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볼 교수는 성리학이 성립된 송나라(960~1279) 시대에 주목한다. 이전까지 세상의 중심에는 중국이, 중국의 중심에는 천자가 존재했다. 관념상 그렇다는 얘기다. 그러나 송나라 때 이 관념은 처절하게 깨진다. 요-금-원나라 등 북방민족의 기세에 눌려 송나라는 중국 남부로 쪼그라든다. 국가재정의 80%를 국방비로 쏟아부었음에도 전·현직 황제가 나란히 붙잡혀 가는가 하면, 조공을 바쳐가며 국가를 근근이 유지했다. 중국이, 그리고 천자가 ‘예 있소.’라고 큰소리칠 상황이 아니었던 것이다.

반면 남쪽으로 쪼그라들면서 거꾸로 중국 경제가 크게 일어났다. 왕조가 남하하면서 역설적이게도 그동안 무덥고 습하다는 이유로 버려졌던 남부지역이 대대적으로 개발됐기 때문이다. 60 00만명 수준을 유지하던 중국 인구가 마침내 1억명을 넘어선 것도 이때였고, 송나라 이후 중국 경제의 중심은 사실상 남부로 옮겨지게 된다. 상업경제로 볼 때 중국 경제의 최전성기가 송나라 때라는 주장도 있다.

성리학은 이때, 즉 권위를 잃어버린 황제와 부유해진 지방 유지들 사이에서 자라났다는 얘기다. 기존 권위의 힘이 떨어지고 새로운 권위가 등장했을 때 성리학은 “도덕적 권위의 궁극적인 근원은 정치·역사·문화의 바깥에 있는 것으로, 그 근원은 진정한 학(學)에 종사하는 이들에게 귀속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이런 성리학은 송나라의 성장과 함께 사회·경제적 지위는 높아졌으나 정치적 권력은 쥐지 못했던 지방 엘리트들을 북돋웠다. 다시 말해 “거대한 야망을 품었으나 그 실현전망은 낮았던 지방 엘리트들에게 교육과 사회적 관계, 자기 정당화의 계기, 지방 리더십의 기회 등을 제공”했다는 것이다.

사실 그 전까지 선비(士)라 하면, 글 좀 다룰 줄 아는 실무형 하급관리에 가까웠다. 황제나 제후가 정치적, 경제적 결정을 내리면 이를 뒷받침하는 역할 정도에 머물렀다. 그런데 ‘학’(學)을 통해 성리학이란 무기를 갖추게 된 선비들은 마침내 입을 열어 “무릇 왕의 덕이라 하면…” 운운하며 정치판에 끼어들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렇게 보면 성리학은 전제왕권을 통제할 수 있는 장치인 동시에 지방 토호들의 권력욕구를 충족시켜주는 통로였던 셈이다. 볼 교수의 이런 양면적인 관점은 성리학을 극단적으로 부인하다, 다시 극단적으로 긍정하고 있는 요즘 널뛰기 분위기 속에서 균형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출발은 개혁적이던 사상이 어떻게 교조화되어 가는지 보여주는 단초가 숨겨져 있어서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11-10 23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