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아이다’ 연출 박칼린 감독 “퍼즐 같은 삶, 아주 재밌어요”

뮤지컬 ‘아이다’ 연출 박칼린 감독 “퍼즐 같은 삶, 아주 재밌어요”

입력 2010-11-23 00:00
업데이트 2010-11-2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BS 예능 프로그램 ‘남자의 자격’을 통해 ‘칼마에’란 애칭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던 박칼린(43). 다음달 18일부터는 경기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에 뮤지컬 ‘아이다’를 올린다. 이번엔 음악감독이 아니라 연출이다. 22일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내 극장 ‘용’에서 박칼린 연출을 만났다.

이미지 확대
‘남자의 자격’에 이어 ‘연출의 자격’에 도전하는 박칼린 감독. 올 연말 ‘아이다’로 뮤지컬 연출에, 내년에는 연극 연출까지 도전한다. 이종원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남자의 자격’에 이어 ‘연출의 자격’에 도전하는 박칼린 감독. 올 연말 ‘아이다’로 뮤지컬 연출에, 내년에는 연극 연출까지 도전한다.
이종원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이번엔 공연 기간이 석달 정도로 조금 짧다.

-아니다. 지난번이 길었다. 이번에는 옥주현이 단독으로 서는 무대인 만큼 석달 정도가 충분하다고 본다.

→요즘 한 배우가 그렇게 길게 끌고 나가는 작품이 드물다.

-원래 그게 정상이다. 4명의 배우를 쓰는 쿼드러플? 그게 이상한거다. 생각해 보라. 무대에서는 호흡이 제일 중요한데, 배우가 자꾸 바뀌면 어쩌나. 언더나 커버를 두고 주연배우가 단독으로 이끌어가는 게 정상이다.

→흥행에 대한 것 때문에 그러는 것 같다.

-그렇지 않다. 그 한 배우만 보면 몇몇 관객층을 위한 것이다. 일반 관객들은 조명, 노래, 춤 등 전반적인 것을 다 본다. 그런 분들을 위해서라면 당연히 공연 전체의 퀄러티를 높여야 한다. 그게 정상이다.

→뮤지컬계에선 원래 유명했으나 ‘남자의 자격’으로 관심 100배다. 부담되지 않나.

-글쎄. 사생활이 좀 부담스럽다. 일 자체는 달라진 게 없다. 원래 늘 그렇게 작업해 왔다. 예전에도 그렇게 열심히 했고, 지금도, 앞으로도 그럴 생각이다. 그런데 사람들의 시선을 모으는 것은 일종의 채찍질 아니겠나. 열심히 하고 있잖아!, 이걸로도 부족해? 그래 그럼 오케이, 정말 잘해 볼게. 이렇게 말할 수밖에 없다. 나의 유일한 자랑거리는 설령 틀렸을지언정 소홀히는 하지 않는다는 거다.

→사생활이 부담스럽다는 건 무슨 의미인가.

-난 정말 상품 라벨 읽기를 좋아한다. 그런데 동네 슈퍼에서 이제 그럴 수가 없게 됐다. 요즘은 캡처해 가서 집에서 읽는다. 길바닥 떡볶이도 좋아한다. 그런 걸 이제 편하게 못한다. 하하하.

→책도 냈는데.

-하필 타이밍이 그랬다. 3년 전부터 써왔다. 60~70% 완성된 상태였고, 올여름에 두어달 시간이 남았다. 그래서 ‘남자의 자격’에도 나가고 책도 마저 쓴 거다.

→요즘 ‘박칼린 리더십’이 화제다. 자기관리랄까, 어떤가.

-글쎄. 내가 자기관리했나? 그냥 못해내는 걸 못 참았을 뿐이다. 열심히 하자, 그것뿐이다. 원래 잡스러운 것도 싫어한다. 연기, 노래 어느 것 하나 할 것 없이 장식하고 꾸미는 게 싫다. 그러다 보니 뼈대만 남은 것 같은 그런 걸 좋아했다. 그러니 남들에게 관리하는 것처럼 보였을 수도 있겠다. 그런데 실제를 보면, 나도 불평하고, 잘 싸우고, 화나면 벽에 머리도 박고, 배고프면 뭐든 퍼먹어야 하고, 나 못해! 이러며 던져놓기도 하고, 그렇다.

→바쁜 일정에 건강관리는.

-집안 덕이다. 저녁 7시만 되면 자야 했고, 눈뜨면 비타민 먹어야 했다. 그 힘으로 지금껏 산다. 운동도 워낙 좋아했고. 지금은 탭댄스 배우러 다닌다. 8개월 정도 됐다.

→브로드웨이 42번가 무대에 서는 건 아닌가.

-절대. 그냥 재미로 배우는 거다. 어렸을 때 한국무용을 해서 그런지 몸으로 표현하는 거에 대한 그런 게 있다. 그래서 탭도 좋다. 음악을 해서인지 소리는 안 좋은데 리듬은 정확하다. 하하하.

→슬럼프 같은 것은 없었나.

-이렇게 말하면 믿을지 모르겠는데, 나는 문제를 즐긴다. 퍼즐 풀기 좋아하는 것과 비슷한 거다. 삶이 문제라서, 그 삶이 재밌는 거다.

→‘남자의 자격’ 이후 러브콜이 많을 것 같은데. 의외의 곳에서 러브콜 온 게 있나.

-제일 중요한 건 무대니까, 거기에 지장 안 받는 범위 내에서 대외활동을 한다. 이래저래 빼니 1주일에 3시간이더라. 그 시간 동안 할 수 있는 것을 한다. 가끔 ‘행정’, ‘안보’ 뭐 이런 거 들어간 곳에서 연락이 온다. 그런데 내가 아직 한국 정부 조직이나 이런 거에 대해 잘 알지 못해서 선뜻 나서기 어렵다.

→이번에 연출을 하는데, 창작에는 도전하나.

-10년째 준비하고 있다. 내년에나 첫 작품을 선보일 수 있을 것 같다. 중극장 규모 정도에서 선보일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 내용은 비밀이다.

→벌써 내년 스케줄이 다 찼나.

-내년 4월쯤에는 연극 연출한다. 우리 박(명성) 대표님 정신나갔다. 왜 겁이 없는지 모르겠다. 하하하. 그 이후엔 ‘렌트’가 잡혀 있다. 렌트의 경우 내가 연출이 아니어서 못한 부분이 있는데, 그런 걸 해보고 싶다. 렌트 하면 어린아이들의 시끄러운 음악 같은 것으로 이해하는데 그게 아니라 그 안의 스토리를 끄집어내 보이고 싶다. 가령 모린은 섹시한 아이가 아니라 톰보이다. 그런 걸 해보고 싶은 거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11-23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