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로 만나는 토끼이야기

유물로 만나는 토끼이야기

입력 2010-12-30 00:00
업데이트 2010-12-3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민속박물관서 2월 14일까지

2011년은 신묘(辛卯)년, 토끼띠의 해다. 토끼는 귀여운 생김새와 영특함으로 인간과 친근한 관계를 맺어왔다. 우리 역사의 기록에 토끼가 처음 등장한 것은 고구려 6대 대조왕 25년(기원후 77년)이다. 그해 10월에 부여국에서 온 사신이 뿔 3개가 있는 흰 사슴과 꼬리가 긴 토끼를 바쳤고, 왕은 이들이 상서로운 짐승이라 해서 죄수들을 풀어주는 사면령을 내렸다는 기록이 있다.

이미지 확대
구토설화중 거북이가 토끼를 꾀어 용궁으로 가는 그림.
구토설화중 거북이가 토끼를 꾀어 용궁으로 가는 그림.
신묘년을 맞아 서울 경복궁 안 국립민속박물관에서 띠 전시 ‘토끼 이야기’가 새해 2월 14일까지 열린다.

1999년 기묘년부터 해마다 띠에 맞춰 열리는 전시로 올해 12년이 돼 다시 토끼전을 열게 됐다.

전시는 크게 세 가지로 구성됐다. ‘토끼, 토(兎)와 묘(卯)’에서는 동물로서의 토끼와 십이간지에서 상징하는 토끼로 구분해 유물을 선보인다. 토 부문에선 토끼를 그린 영모화, 토끼 모양 노리개, 토끼털 목도리 등이 전시된다. 묘 부문에는 십이간지의 네 번째 지지로서 묘신에 관련된 유물을 모았다. 간지에서 묘는 방위로는 정동(正東)을, 시간으로는 오전 다섯시부터 일곱시까지를 뜻한다. 그 이유는 토끼가 무덤에서 방위수호신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토끼의 상징 가운데 가장 많이 알려진 ‘달 속의 토끼’ 연관 유물도 따로 모았다. 중국 당·한대의 여러 문헌 기록에 나오는 옛 설화에 따르면 토끼와 두꺼비는 달의 정령이며, 계수나무는 불사목(不死木)이다.

옛 사람들이 계수나무 아래서 불로장생의 약방아를 찧고 있는 토끼의 모습을 그리며 아무 근심 걱정 없이 살고 싶은 이상세계를 꿈꾸어 왔음을 보여주는 유물들이 전시된다.

‘꾀 많은 토끼’ 코너는 불리한 상황을 꾀로 벗어나는 토끼 이야기를 보여준다. 구토(龜兎) 설화가 최초로 등장하는 삼국사기와 수궁가, 별주부전 등의 문헌과 이야기책에 사용됐던 삽화 등을 감상할 수 있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0-12-30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