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1 3부작 ‘환경스페셜’
지구 표면의 70.8%를 차지하는 바다. 지구상 최초의 생물이 탄생한 곳이며 해조류와 어류를 비롯한 수많은 생명의 터전이다. 인간 역시 오랜 세월을 바다에 기대 살아왔다. 풍요의 바다는 그동안 우리에게 무수한 자원을 아낌없이 내줬다. 그러나 이제 바다가 고통을 호소하기 시작했다. 쉼 없이 바다를 착취해 온 인간의 이기심으로 인해 바다는 지금 몸살을 앓고 있다.인간의 무지와 방관 속에 병들고 있는 바다를 조명하고, 바다의 가치와 의미를 생각해보는 ‘환경스페셜’.
KBS 제공
KBS 제공
22일부터 3주 동안 매주 수요일 밤 10시에 방송되는 KBS ‘환경스페셜’ 3부작 ‘바다와 인간’은 끊임없이 이어져 온 바다와 인간의 관계를 재조명한다. 우리가 쉽게 지나치던 사소한 것들이 바다를 병들게 하고 그것이 인간에게 돌아오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고 바다가 인간에게 주는 가치와 의미를 생각해 본다.
여가활동으로 각광받고 있는 낚시. 그런데 낚시에 사용되는 낚시추가 납으로 만들어져 어류와 해안가 조류에 치명적인 납중독을 유발하고 있다. 22일 방송되는 제1편 ‘중금속 납의 위험한 여행’에서는 낚시나 어업으로 쉽게 바다에 버려지는 납의 실태와 문제점과 함께 이에 대한 대안을 찾아본다.
여름 휴가철을 맞아 많은 낚시꾼들이 전국의 바다를 찾아 나섰다. 잡는 고기가 다르고, 낚시 장소도 다르지만, 모든 낚시꾼들이 하나같이 쓰는 물건이 있다. 바로 봉돌이다. 작게는 3.75g부터 많게는 375g까지 나간다. 낚시꾼들이 가장 많이 쓰는 봉돌은 중금속 납으로 된 것으로 낚시를 하다 보면 쉽게 잃어버리게 되는 낚시 소모품 중 하나다. 그렇다면 바다엔 얼마나 많은 납 봉돌들이 버려져 있는 것일까. 그리고 버려진 납 봉돌은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제작진은 지난 7월, 제주도를 비롯해 남해와 태안, 인천 등 낚시꾼들이 모이는 전국 각지의 해안가를 돌며 바다의 모습과 버려져 있는 봉돌, 이로 인해 변해버린 생태의 모습을 촬영했다.
경희대 환경연구센터 김정수 박사팀에 의뢰해 납 오염이 심한 시화호에 서식하는 수리부엉이 펠릿의 먹이 속 납 농도를 분석한 결과 2.16ppm이었다. 이는 파주, 강화 지역 수리부엉이 먹이의 납 농도 수치 0.39ppm과 비교했을 때 5.5배나 높았다.
납 봉돌은 미국, 캐나다, 영국 등 해외 많은 국가에서 환경보호를 위해 사용이 엄격히 규제된다. 우리나라 역시 오는 9월 10일부터 시행되는 낚시 관리 및 육성법에 의해 납 봉돌의 사용이 금지될 예정이다. 이 법이 시행되면 납 봉돌의 유통과 판매 및 사용이 금지된다. 하지만 납처럼 비중이 높고 변형이 쉬운 봉돌을 찾기 힘들다는 이유로 낚시인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12-08-2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