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커 증가·불황에 유통업계 희비 엇갈려
중국인 관광객(유커) 증가에 따라 면세점 업계가 지난해 사상 최대의 실적을 올린 반면 백화점과 마트 등 전통적인 유통 채널은 경기불황의 여파로 10년 만에 뒷걸음질친 것으로 나타났다.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면세점의 지난해 매출액은 4조 2000억원으로 2013년(3조 7000억원)보다 16~18% 성장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신라면세점도 2조 6123억원으로 전년 대비 25.2% 증가했다.
면세점 매출이 늘어난 데는 유커의 힘이 컸다. 롯데면세점 전체 매출에서 중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3년 45%였지만 지난해에는 70%로 껑충 뛰어올랐다. 반면 일본인 관광객 비중은 2011년 30%에서 2012년 25%, 2013년 15%, 지난해 5%로 계속 쪼그라드는 추세다. 신라면세점의 전체 고객 가운데 외국인이 70%가량을 차지하고 있고 이 가운데 중국인 비율은 2013년 80%에서 지난해 88%로 높아졌다.
반면 백화점과 마트, 홈쇼핑 등 기존의 유통업체는 역성장했다. 통계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백화점의 매출액은 29조 2000억원으로 2013년(29조 8000억원)보다 1.9%(6000억원) 감소했다.
1995년 이후 백화점 경상 성장률이 감소한 해는 이전까지 세 번뿐이었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9%), 카드 사태로 내수가 얼어붙은 2003년(-3%)과 2004년(-4.4%)이었다.
지난해 홈쇼핑 판매액 경상지수도 0.8% 증가에 그쳤다. 대형마트는 3.3%, 편의점은 7.4% 늘어났지만 그간 두 자릿수 성장세에 비하면 부진한 결과다. 업계는 지난해 2분기 세월호 참사 이후 소비 심리가 크게 떨어지고, 해외 직구(직접구매)가 늘면서 백화점 매출이 크게 줄어들은 것으로 분석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5-02-0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