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돈, 몸, 길, 글 등 5부 구성... 라면 먹으며 살아가는 한국인 삶 이야기
소설가 김훈(67)이 그간 써 온 많은 글들을 버리고 새로이 문장을 벼린 ‘김훈 산문의 정수’를 내놨다. 새 산문집 ‘라면을 끓이며’(문학동네)다. 출판사 측은 “김훈 문장의 힘은 버리고 벼리는 데서 온다”며 “이 책은 김훈이 축적해 온 삶 위에 가차 없이 버리고 벼린 그의 문장의 힘이 더해져 김훈 산문의 정수를 읽는 희열과 감동을 온전히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소개했다.
작가의 지난날을 이룬 다섯 가지 주제에 따라 ‘밥’, ‘돈’, ‘몸’, ‘길’, ‘글’ 5부로 구성됐다. 가족 이야기부터 기자 시절 거리에서 써내려 간 글들, 한국 사회에 대한 통렬한 비판, 최근 도시를 벗어나 동해와 서해의 섬에 들어가 써내려간 글들까지 작가의 어제와 오늘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표제글 ‘라면을 끓이며’는 매년 36억개, 1인당 74.1개씩의 라면을 먹으며 살아가는 한국인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이자 ‘거리에서 싸고, 간단하게, 혼자서 끼니를 해결’해야 하는 보통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다. ‘모르는 사람과 마주 앉아서 김밥으로 점심을 먹는 일은 쓸쓸하다. 쓸쓸해하는 나의 존재가 내 앞에서 라면을 먹는 사내를 쓸쓸하게 해 주었을 일을 생각하면 더욱 쓸쓸하다.(중략) 이 궁상맞음을 비웃어서는 안 된다. 당신들도 다 마찬가지다. 한 달 벌어 한 달 살아가는 사람이 거리에서 돈을 주고 사먹을 수 있는 음식은 뻔하다.’(15~17쪽, ‘라면을 끓이며’ 일부)
국가가 국민을 지켜 주지도 못하고 진영 논리에 휩싸여 악다구니만 벌이는 권력가들에게 ‘슬프고 기기 막혀’ 써내려 간 글들은 통렬하다. 가슴 깊은 곳에서 들끓는 분노와 절망이 오롯이 느껴진다. ‘슬픔과 분노에 오랫동안 매달려 있는 것은 경제 살리기에 해롭다는 것이 그 혐오감의 주된 논리였다.(중략) 재벌의 불법을 용인해야 경제가 살아나고, 정당한 슬픔과 분노를 벗어던져야만 먹고살기 좋은 세상이 된다는 말은 시장의 논리도 아니고 분배의 정의도 아니다. 그것은 정치적인 속임수일 뿐이다.’(165쪽, ‘세월호’ 일부)
그의 글은 간명하고 정직하다. 그 무엇도 덧댈 필요도, 덜어낼 수도 없다. 작가는 이번 산문집을 어떻게 평할까. “낮고 순한 말로 이 세상에 말을 걸고 싶은 소망으로 몇 편의 글을 겨우 추려서 이 책을 엮는데, 또 하나의 장애물을 만드는 것이 아닌지를 걱정한다.”(410~411쪽, ‘작가의 말’ 일부)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