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벽 발굴… 왕성 여부 주목
백제왕성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는 서울 송파구 풍납토성에서 고대 성벽 방어시설인 해자(垓子)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해자가 풍납토성의 백제왕성설을 결정적으로 뒷받침하지는 못하지만 풍납토성의 당시 위상과 가치를 가늠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해 주목을 받고 있다.서울 송파구 풍납토성 조사 지역 전경(왼쪽). 풍납토성 성벽과 해자 유구(오른쪽).
유은식 문화재연구소 연구관은 “풍납토성은 서쪽으론 한강으로 에워싸여 있어 동쪽에 해자가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는데, 발굴 조사를 통해 인위적으로 만든 해자를 발견했다”며 “왕성에만 해자가 있는 게 아니어서 해자 유무가 왕성을 결정하는 요소는 아니지만 방어시설이 확인된 만큼 풍납토성의 격은 높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자영 연구사는 “풍납토성 인근 몽촌토성에서도 해자가 확인되긴 했는데 규모나 구조, 사진 등이 명확하지 않다”며 “반면 풍납토성은 해자의 처음과 끝이 단면에 명확히 나와 있어 정확한 규모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소는 2011년 풍납토성 성벽과 해자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동성벽 외곽 절개 조사에 들어갔다. 그 외곽인 추정 해자 부지를 조사하던 중 지하에 콘크리트 구조물과 폐기물이 나와 조사를 중단했다. 폐기물 등을 모두 제거한 뒤 지난 5월 본격적으로 동성벽 외곽 절개를 통한 발굴 조사에 재착수했다.
이번에 확인된 해자는 완만한 경사도를 둔 체성부(성벽을 이루는 몸체 부분) 밑단부에 역사다리꼴 형태로 조성됐다. 해자 규모는 상부 폭 13.8m, 하부 폭 5.3m, 깊이 2.3m이며 바닥은 하상 퇴적층인 자갈층까지 이어진다.
성 외벽의 하부에는 동서 길이 10m 정도로 뻘층이 형성돼 있다. 이른 단계의 해자 또는 성 외벽의 기조(基槽·기본 토대)로 추정되는 이 뻘층은 생토층을 파고 인위적으로 조성됐으며 가장자리는 황갈색 점토로 마감했다. 뻘층 내부와 상면에선 심발형 토기, 직구호, 동이구연부편 등 3세기 후반에서 4세기 초 유물이 주로 출토됐다.
연구소는 “이번 조사를 통해 해자를 처음으로 확인하는 성과를 거두었지만 성벽 기저부 뻘층의 성격과 조성 시기, 풍납토성 증축과정, 처음 축조한 시기에 대한 문제 등은 해결 과제로 남아 있다”며 “추가 발굴조사를 통해 차츰 규명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연구소는 22일 이번 발굴조사 성과에 대해 현장 설명회를 개최한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12-22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