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작 ‘유혹의 학교’에서 유혹과 관능 등 관계를 발전시키는 기술들에 천착했던 작가는 이번 책에서는 관계 그 자체에 더욱 주목했다. 작가의 어린 시절부터 따라가며 부모, 연인, 사랑하는 두 딸, 친구, 새롭게 만난 가족 등 자연스럽게 확장되는 관계의 범위를 보여주며 여운을 남긴다. 폭력적인 아버지 아래에서 성장한 이야기, 남편과의 이별 과정에서 감지한 또 다른 형태의 우정, 단순한 모녀 관계 그 이상인 두 딸과의 관계 등이 다채롭게 다뤄진다.
여러 관계를 겪으며 삶이 더욱 깊어진 작가의 깨달음의 장은 여기서 온다. 사랑 받고 큰 놈이 줄 줄도 안다는 명제 아래, 그와 같은 사람을 주로 만나던 작가는 삶이 계속 되며 관계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 그 과정에서 얻은 사실은 가장 큰 상처를 준 사람은 오히려 자신의 환경과 조건이 남들보다 더 낫고 바르다고 확신한 이들이었다는 것이다. 주어진 환경의 좋고 나쁨의 문제가 아니라 스스로 깨닫고 부딪치고 성찰할 기회를 누리지 못하거나 차단하는 태도가 문제였음을, 작가는 깨닫는다. 그는 말한다. “세계의 확장은 주어진 안락함과 풍료로움에 의해서가 아니라 얼마만큼 스스로, 그리고 타인과 연대하며 삶을 개척해 나갔는가에 있다”고 말이다.
관능과 매혹으로 이글거리는 활화산 같은 사랑 얘기를 쓰던 작가는, 그러나 이전과는 조금 달라진 것 같다. ‘가슴 뛰는 조우와 매혹적인 사랑 이야기는 여전히 내게 힘이 세다. 하지만 그것의 부재가 예전만큼 쓸쓸하거나 다시 찾아오지 않을까 두렵지는 않다. 연애세포를 날뛰게 하고 일상을 뒤흔드는 만남보다는, 좀 더 성숙한 단계로 나아가는 관계에 더 흥미를 느낀다.’(121쪽) 끊임없이 싸우고 투쟁하고 지키다 얻은 고민의 흔적 같다. 이런 이서희도 저런 이서희도 다 좋다. 일독을 권한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