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현판 중 最古
‘금보개조도감의궤’ 번역 책도 발간
의열사기 현판. 문화재청 제공
13일 고궁박물관은 ‘조선왕실의 현판 Ⅱ’ 도록을 공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의열사기 현판은 류성룡이 1581년 4월에 지은 부여 의열사 기문(기록한 글)을 이듬해 새긴 자료다. 크기는 가로 150㎝, 세로 36㎝다.
현판에는 류성룡의 벗인 홍가신이 1575년 부여 현령으로 부임한 뒤의 기록이 담겼다. 백제 의자왕 시기 충신인 성충·흥수·계백과 고려 공민왕 때 신하 이존오를 모시기 위한 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지냈다는 내용이다. 현판 뒤쪽에는 ‘만력 10년 임오년 2월에 걸다.생원 한호가 썼다’는 글이 있다. 도록은 “의열사에는 이후 인목대비 폐모에 반대한 정택뢰, 인조 때 청나라를 공격하려다 죽은 황일호가 추가로 배향됐다”며 “의열사는 1866년 훼철됐다가 1970년 복원됐다”고 설명했다. 관계자에 따르면 고궁박물관 소장 현판은 대부분 조선 후기에 제작됐는데, 의열사기 현판은 이례적으로 시기가 이른 편이다.
소장품도록 현판. 문화재청 제공
현판을 보면 국정 운영 제도와 특징, 왕의 효심에 관한 메시지를 읽을 수 있다. 예컨대 종묘와 사직단에서 제사를 거행하며 나라 발전과 백성 평안을 기원하거나 조선왕릉을 참배하고 선왕의 공덕을 찬양한 글이 있고, 능 관리와 제사 준비에 소홀함이 없도록 독려하거나 별궁이나 행궁에서 감회를 읊은 글도 있다.
국역 금보개조도감의궤. 문화재청 제공
금보개조도감의궤 표지. 문화재청 제공
이에 따르면 당시 임시 관청인 도감(都監)을 설치해 물품을 새롭게 제작해 봉안하고 상을 내린 내용이 담겼다. 번역과 해제 작성을 맡은 최연숙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은 “종묘 물품 정비는 숙종 연간 왕실 권위 회복과 안정을 위한 노력이었다”며 “금보개조도감의궤는 조선시대 장인이 작업한 최고의 작품에 들어간 인력과 비용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라고 평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