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까지 사과 안해 스스로를 구하지 못한 전두환…“뭔가 변할 시기”

끝까지 사과 안해 스스로를 구하지 못한 전두환…“뭔가 변할 시기”

임병선 기자
입력 2023-05-18 10:59
수정 2023-05-18 10: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사이드웨이 제공
사이드웨이 제공
전두환의 마지막 33년/ 정아은 지음/ 사이드웨이/ 400쪽/ 2만원

“가까운 이들에게는 소탈하고 친화력 좋은 사람이었다. 눈물도 흘릴 줄 알았다. 그러나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과오와 대면하는 능력은 심각하게 결여돼 있었다.”

장편소설을 다섯이나 내놓고 세 편의 인문 에세이를 펴낸 중견작가가 과감한 평전을 썼다. 사춘기를 맞기 전에 ‘광주’를 통과했던 그는 비밀과 불안이 교차했던 시공간을 살아오며 전두환이란 인간에 대한 호기심을 키워오다 성인이 된 뒤 사회와 국가, 권력과 정치, 역사에 대한 고민으로 키워왔다고 돌아봤다. 무자비한 폭력으로 국가공동체를 유린하고도 2년 간 옥살이를 했지만 제대로 단죄되지 않고 1652㎡의 집에서 살다 청와대에 가끔 불려가 “국가의 안위”를 떠들고, 골프와 고급음식을 즐기다 2021년 11월 23일 평안하게 자연사했다.

책의 1부 ‘영광’은 어린 시절부터 대통령이 되기까지 50년을 다룬다. 상승을 향한 집념, 뚝심, 준비하고 재빨리 기회를 낚아챈 치밀함, 무신경한 낙천성의 끔찍함으로 권력의 정점에 선다. 2부 ‘모순’은 정통성 부재를 덮기 위해 먹고사는 문제에 몰두하고 김재익이란 걸출한 인재를 발탁해 이 땅에 물질적 풍요를 가져온 것이 그를 끝끝내 무릎 꿇게 하지 않은 원인이 됐다고 진단한다.

3부 ‘몰락’은 권좌에서 내려온 뒤 33년을 쫓는다. 그에게 드물게 이뤄진 처벌은 단편적이었고 자의적이었다. 노태우와 김영삼, 김대중과 노무현, 그리고 박근혜와의 개인적 관계, 사회역사정치적 동역학을 고찰하면 최고 결정권자의 사적 동기로 그를 용서한 것이 한국민주주의가 여전히 직선제 이후로 넘어오지 못했음을 확인시킨다고 했다.

4부 ‘악의 기원’은 이 잔인한 독재자를 미화하거나 낭만화하는 이들이 적지 않은 이유를 톺아본다. 1990년대 글로벌 자본주의 체제에 편입된 뒤 국민들이 치열한 경쟁에 노출돼 ‘강력한 국가’를 그리워하며 ‘80년대는 그래도 살 만하지 않았느냐’ 같은 헛소리들을 하게 만들었다.

100권의 참고문헌을 살폈다는 저자의 결론은 ‘전두환을 가장 정확하게 읽어내는 국민만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정아은 작가는 16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열린 ‘전두환의 마지막 33년’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전두환 전 대통령에 대한 단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걸 보면 국가 존재의 의미 자체에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뉴시스
정아은 작가는 16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열린 ‘전두환의 마지막 33년’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전두환 전 대통령에 대한 단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걸 보면 국가 존재의 의미 자체에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뉴시스
저자는 16일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열린 출간 간담회에서 “건강한 정신세계를 가진 이라면 스스로와 대면해 성찰하고 ‘내 잘못이었다’ 인정하는 능력이 생기기 마련인데, 그에겐 이런 게 전혀 없었죠. 항상 자기 잘못으로 인해 상황이 발생하면 아이처럼 반응해 폭동으로 몰거나 북한 소행이라고 얘기하는 식이었다”고 말했다.

처음에는 소설을 구상했다. 전두환과 노태우, 노무현과 문재인이라는 인물에서 착안한 역사소설을 구상하다가 전두환에 대한 제대로 된 학술서나 연구서가 많지 않다는 사실을 알고 평전을 쓰는 쪽으로 방향을 돌렸다고 했다.

“그 시대는 안 되는 일을 어떻게 해서든 우격다짐으로 했던 시대였잖은가. 자신의 잘못을 성찰하고 숙고하는 사람보다 어떻게든 상황을 돌파하는 사람을 굉장히 바람직한 인간형으로 본 것이다.”

저자는 이런 유형의 인물들은 주변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고 했다. 법과 시스템에 따라 행동하기보다는 추구하는 방향과 이익을 위해서라면 법도 초월해서 바로바로 행동하는 인물들이 정치인 중에 많다는 것이다.

저자는 “좋게 말하면 ‘카리스마’이고 한국 남성들에게 요구되는 가치이기도 했다”면서도 “이런 것이 자기성찰 능력이 극도로 결여된 사람들에게 발현되면 (전두환의 경우처럼) 비극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누군가는 이제 영원히 진실은 묻히게 됐다고 말하지만 저자의 생각은 다르다. “5·18과 신군부 세력이 한 일들에 대해 새로운 증거와 사람들의 고백이 나오고 있다. 손자 전우원의 행보도 그렇다. (단죄와 관련한) 국민 정서가 뜨거워지고 있다. 지금이 뭔가 변할 수 있는 시기라고 본다.” 소설가의 영민한 예지력이었으면 좋겠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