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76.5%, 4차산업혁명에 ‘불안감’…“내 일자리 위협할 것”

국민 76.5%, 4차산업혁명에 ‘불안감’…“내 일자리 위협할 것”

입력 2017-04-27 09:07
업데이트 2017-04-27 09: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언론진흥재단 설문…89.9%가 ‘전체적 일자리 감소’ 전망

국민 약 10명 중 9명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인공지능(AI) 등으로 일자리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4명 중 3명 이상은 자신의 일자리마저 위협받을 것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는 이달 18∼21일 20∼50대 남녀 1천4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0%포인트)한 결과, ‘4차 산업혁명으로 전체적인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는 항목에 89.9%가 동의했다고 27일 밝혔다.

‘4차 산업혁명으로 빈부 격차가 심해질 것’이라는 항목에는 85.3%가 ‘그렇다’고 답했다.

특히 응답자의 76.5%는 ‘4차 산업혁명은 내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라고 생각했고, ‘자녀나 다음 세대의 일자리를 줄일 것’이라는 데 동의한 응답자는 83.4%로 더 많았다.

4차 산업혁명이 내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라는 질문에 동의한 비율은 1년 전 같은 조사 때의 52.2%보다 무려 24.3%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의 일자리 위협에 대한 불안감은 학력이 낮고 경제적으로 어렵다고 인식하는 층에서 더 컸다.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 81.1%, 대졸 77.3%, 대학원 재학 이상 66.7%, 경제 계층별로는 하층 81.7%, 중간층 72.5%, 상층 69.3%가 4차 산업혁명으로 자신의 직업에 대한 위협을 느낀다고 답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일자리 감소가 전망되는 직업군(복수응답)으로는 제조업 63.7%, 은행원 41.2%, 사무직 29.0%, 판매사원 25.4%, 택배기사 22.9%, 농업 20.7%, 택시기사 17.1% 등의 순으로 꼽혔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응답자의 82.6%가 ‘인류에게 혜택을 줄 것’, 82.4%는 ‘경제 신성장 동력이 될 것’, 73.6%는 ‘복지제도의 중요성이 커질 것’이라고 답하는 등 긍정적인 기대감도 컸다.

응답자들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해 가장 필요한 교육 영역으로 창의력 교육 (31.3%), 컴퓨터공학(26.1%), 공학(18.2%), 인문학(11.0%) 등을 많이 꼽았다.

정부정책으로는 초·중·고 교육혁신(23.6%), 실업대책 및 복지정책(21.6%), 신기술 개발 지원(19.7%) 등이 필요하다는 답변이 다수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