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배구고두의 아픈 역사 반복 말아야”

“삼배구고두의 아픈 역사 반복 말아야”

한상봉 기자
한상봉 기자
입력 2018-09-27 23:08
업데이트 2018-09-28 01: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재로 삼학사비 15년 보존 김용규씨

“되찾고 지키기 위해 그동안 많은 분들이 고생했습니다. 그러나 정부도 국민도 관심을 두지 않으니….”
김용규 전 요녕발해대학후원회 비서실장
김용규 전 요녕발해대학후원회 비서실장
중국 내 유일한 조선족 사립대학이었던 요녕발해대학과 삼학사비를 보존하기 위해 사재를 털어 가며 선양에서 15년을 보낸 김용규(60) 전 요녕발해대학후원회 비서실장이 지난 22일 삼학사비 비신 앞에서 묵념하며 한 말이다. 요녕발해대학은 설립자인 천문갑 학장이 2009년 지병으로 유명을 달리하면서 사실상 폐교됐다. 허창무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교수 등 국내 후원자와 해외동포들이 지원했지만 끝내 지켜내지 못했다.

김용규씨는 삼학사비만큼은 꼭 지켜내고 싶다고 한다. “불과 380년 전 조선의 왕이 3번 절하고 9번 머리를 조아리는 항복 의식인 삼배구고두를 하며 항복했고, 조선 백성의 약 30%에 달하는 60만명이 청에 노예로 끌려갔습니다. 그 아픈 역사를 반복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삼학사를 잊지 말아야 합니다.”

그는 “숙종 때 남한산성에 현절사를 세워 삼학사 충혼을 위로하고, 우암 송시열에게 명을 내려 ‘삼학사전’을 짓게 한 것으로 볼 때 삼학사 희생이 조선에 미친 긍정적 영향이 적지 않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김씨는 “천 학장 사망 후 후원회 역시 사실상 해체된 상황”이라며 “학교 운영이 중단되다 보니 삼학사비를 돌보는 사람이 없고, 관람하고 싶어 해도 자유롭게 보여 줄 수 없어 너무도 안타깝다”고 아쉬워했다. 그러면서 그는 “선양에 있는 삼학사비는 우리의 아픈 역사와 더불어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불굴의 정신을 후손들에게 전해 주는 교육의 장으로 손색이 없다”면서 “동북삼성 일대 우리 역사를 후손들에게 보여 줄 수 있는 복합 전시공간을 만들어 민족의 뿌리와 정체성을 지킬 수 있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 사진 선양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2018-09-28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