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에 깃든 100년 전 그날] <7>매천 황현의 ‘절명시’
매천 황현이 1910년 경술국치를 통분하며 자결하기 전 남긴 시 ‘절명시’의 원본.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제공
조선 말기 우국지사인 매천 황현(1855~1910)은 2000여수의 시를 짓고 한국 근대사 연구에 중요한 저술로 꼽히는 ‘매천야록’(梅泉野錄)과 ‘오하기문’(梧下記聞)을 남겼다. 그는 1910년 8월 29일 국권이 일제에 넘어가자 9월 8일 칠언절구 한시 ‘절명시’와 유서를 쓰기 시작했다. 죽음으로 일본의 침략과 탄압에 항거하기 위함이었다.
구절마다 비통함과 참담함이 배어 있는 이 시에서 ‘글 아는 사람 구실 어렵기만 하구나’라고 말한 황현은 나라를 빼앗긴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저항하지 못하는 자신의 무력함을 토로했다. ‘절명시’ 마지막 부분에서 국가의 기강을 세우는 상소를 하고 황제의 노여움을 사서 억울하게 죽은 송나라 선비 진동(陳東)과 자신을 비교하며 적극적인 저항이 아닌 자결이라는 소극적인 선택을 할 수밖에 없는 자신의 처지를 못내 부끄러워했다.
독립운동가이자 시인인 한용운이 매천 황현의 순절을 기리며 쓴 애도시 ‘매천선생’.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제공
또 다른 자료인 ‘수택존언’(手澤存焉)에서도 황현의 항일의식을 살펴볼 수 있다. 황현은 1908년 3월 독립운동가 전명운·장인환의 스티븐스 저격 사건, 1909년 12월 독립운동가 이재명의 이완용 암살 시도 등 대한매일신보에 실린 독립운동가들의 신문 기사를 꼼꼼히 스크랩했다. 특히 1909년 10월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사건과 안 의사의 공판 과정에 대한 신문 기사를 빠짐없이 모아둔 점은 황현이 얼마나 나라의 명운에 온 신경을 기울이고 있었는지 짐작하게 한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9-02-19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