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군 사기 드높인 호방한 선율… 예술로 나라 구한 한형석의 열정

광복군 사기 드높인 호방한 선율… 예술로 나라 구한 한형석의 열정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9-03-04 17:36
수정 2019-03-06 17: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문화재에 깃든 100년 전 그날] <9·끝> 광복군가집 제1집

‘총 어깨 메고 피 가슴에 뛴다/우리는 큰 뜻을 품은 한국의 혁명 청년들/민족의 자유를 쟁취하려고/원수 왜놈 때려 부시려/희생적 결심을 굳게 먹은/한국 광복군 제2지대/앞으로 끝까지 전진/앞으로 끝까지 전진/조국 독립을 위하여/우리 민족의 해방을 위해.’

1940년 중국에서 창설된 한국광복군의 진취적인 의지가 담긴 ‘제2지대가’의 가사다. 일제강점기 중국에서 활동한 대표적인 항일 음악가 한형석(1910~1996)이 작곡했다. 한형석은 이외에도 ‘국기가’, ‘압록강행진곡’, ‘광복군 아리랑’ 등 여러 곡의 광복군가를 남겼다. 1943년 한국광복군 제2지대 선전위원회가 발간한 ‘광복군가집 제1집’에는 그의 작품 중 장중함과 호방함이 넘치는 16곡의 군가가 실려 있다. 이 악보는 일제강점기에 발행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광복군가집으로, 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1년 등록문화재 제474호로 지정됐다.

한형석은 예술 활동을 무기 삼아 구국(救國)에 투신한 인물이다. 중국에서 항일 활동을 펼친 부친 한흥교의 뒤를 좇아 1915년 중국으로 건너간 한형석은 이후 상하이 신화예술대학에 진학했다. 졸업 후 학교에서 음악을 가르치던 그는 ‘신혁명군가’를 발표하면서 예술 구국의 바탕을 다지기 시작했다. 한국청년전지공작대 예술조장, 광복군 제2지대 선전조장 등으로 복무하면서 수십곡의 광복군가를 남겼다. 예술을 항일투쟁의 수단으로 삼은 한형석이 작곡한 군가는 광복군의 사기를 진작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한형석의 아들 한종수씨는 “의사가 되길 바라셨던 조부의 뜻과 달리 대학 졸업 후 진로를 고민하던 부친이 음악을 하시게 된 건 임시정부 요인이었던 조성환 선생의 조언 덕분”이라면서 “조 선생께서 ‘예술로 나라를 구하라’고 하신 가르침이 대학에서 예술교육학을 전공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예술 구국에 대한 그의 열정은 1948년 고향인 부산으로 돌아온 뒤에도 식지 않았다. 한국전쟁 이후 거리를 방황하는 고아들을 안타깝게 여긴 그는 1953년 사재를 털어 부민동에 자유아동극장 겸 색동야학원을 열기도 했다. 한씨는 “중국에서 교사로 근무하실 때 아동극장을 기획·설계하시고, 귀국 이후에도 부산에 아동극장을 만드셨듯 교육을 받지 못한 아이들에 대한 마음이 남달랐다”고 전했다.

음악으로 민족의 정신적 단결을 이루고자 했던 한형석은 문화예술 교육의 중요성을 일찍이 깨달은 선각자였다. 그러나 업적에 비해 한형석에 대한 자료 수집과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한씨는 “아버지가 중국에서 활동하실 때 남긴 자료도 많고 또 찾아야 하는 자료도 많은데 체계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안타깝다”면서 “아버지의 항일 활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학자가 나타나길 바라는 마음”이라고 전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9-03-05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