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셔올 것인가 키워볼 것인가

모셔올 것인가 키워볼 것인가

입력 2014-09-16 00:00
업데이트 2014-09-16 02: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산·광주비엔날레 외국인 총감독 딜레마

국내 양대 비엔날레인 광주비엔날레와 부산비엔날레가 이달 잇따라 개막하면서 외국인 총감독을 바라보는 국내 미술계의 시선이 엇갈리고 있다. “세계 미술계의 흐름을 따라가기 위해 아직은 외국인 전시 기획자가 필요하다”는 옹호론과 “(외국인 기획자로는) 한국적 정서와 문화 현상을 효과적으로 읽어 내는 데 한계를 갖고 있다”는 반대론이 팽팽히 맞선 상태다. 일각에선 예술적 편향성을 거론하며 “대체 어느 나라 비엔날레냐”는 비판까지 나오는 상황이어서 국내 전시 기획자를 키우기 위한 정부와 문화예술계의 체계적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미지 확대
지난 4일부터 11월 9일까지 66일간 38개국에서 103개 팀(111명)이 참여해 413점의 현대미술을 선보이는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전경.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지난 4일부터 11월 9일까지 66일간 38개국에서 103개 팀(111명)이 참여해 413점의 현대미술을 선보이는 광주비엔날레 전시관 전경.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이미지 확대
광주비엔날레 개막식을 하루 앞둔 지난 3일 광주비엔날레 전시관에서 프레스 오픈 행사를 진행하는 제시카 모건 예술총감독.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광주비엔날레 개막식을 하루 앞둔 지난 3일 광주비엔날레 전시관에서 프레스 오픈 행사를 진행하는 제시카 모건 예술총감독.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이미지 확대
올리비에 케플렝 부산비엔날에 전시감독.  부산비엔날레 제공
올리비에 케플렝 부산비엔날에 전시감독.
부산비엔날레 제공


이미지 확대
부산비엔날레에 출품한 스페인 출신 작가 필라 알바라신의 설치작품 ‘당나귀’. 부산비엔날레 제공
부산비엔날레에 출품한 스페인 출신 작가 필라 알바라신의 설치작품 ‘당나귀’.
부산비엔날레 제공


전시를 둘러싼 잡음은 오는 20일 개막하는 ‘2014 부산비엔날레’의 프랑스 출신 올리비에 케플렝(65) 전시감독에게 쏠려 있다. 8회째를 맞는 부산비엔날레의 세 번째 외국인 감독인 케플렝은 본전시 참여작가 77명 가운데 3분의1이 넘는 26명을 자신과 같은 프랑스나 프랑스령 출신 작가로 채우며 논란을 키웠다. 한국 출신 작가는 10명에 그치지만 이들마저 다수가 프랑스에서 미술 공부를 했거나 거주하고 있어 원성을 샀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한국의 주요 작가들은 본전시가 아닌 특별전에 초대돼 마치 전시의 주객이 전도된 듯한 양상을 띠고 있다.

케플렝은 이와 관련, 최근 서울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프랑스라는 나라가 원래 다양한 국적과 인종의 사람들이 섞여 있는 만큼 코스모폴리탄적인 색채가 강하다. 참여 작가들의 국적을 고려하기보다 주제에 맞는 작가군의 작품에 초첨을 맞췄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지역 예술계는 술렁이고 있다. 지난해 부산 출신인 김성연 미술가가 ‘부산과 공존하는 비엔날레’라는 내용을 담은 기획안으로 전시감독 심사에서 1위를 차지했으나 석연치 않은 이유로 감독직을 거부하고 사퇴했던 터였다. 지역 문화계에선 사상 초유의 비엔날레 보이콧 분위기가 팽배하다.

광주비엔날레의 영국 출신 제시카 모건(46) 예술총감독에 대한 평가는 미묘하게 갈린다. 국내 대다수 미술계 인사와 외신들은 호의적이다. 이코노미스트지는 “(모건은) 도발을 회피하지 않았다. 예리한 관심을 자신의 방식대로 표현하고 있다”고 극찬했다. 광주라는 지역의 역사성과 한국 현대사의 맥락도 어느 정도 짚고 있다는 평가다.

반면 정준모 평론가는 “무언가 아쉽다”고 말했다. 지난 3일 개막식을 하루 앞두고 열린 VIP투어에서 일부 미술 관계자들이 “미술관 큐레이터답게 일목요연하게 정리했으나 특징이 없고 전시 주제를 다소 겉돌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고 이야기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광주비엔날레가 외국인 총감독을 영입해 전시 기획을 위임한 건 이번이 네 번째로, 개막 때부터 전시의 색깔을 놓고 이렇게까지 이론이 일었던 적은 드물었다.

영국 테이트모던 미술관의 수석 큐레이터인 모건은 제러미 델러, 로만 온닥, 우르스 피셔 등 유명 작가의 작품을 통해 부조리, 개발 위주 현대사회, 인간성 말살 등을 다양하게 펼쳐 놨다. 전시 주제인 ‘버닝 다운 더 하우스’(Burning down the house)는 1980년대 대중을 열광케 한 ‘토킹헤즈’의 노래에서 차용했다. 모건이 주로 관심을 기울였던 미국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한 밴드다. 한 미술 관계자는 “모건이 2007년 12명 작가의 공동 기획전을 준비했던 당시의 작가들이 이번에도 대부분 참여했고, 이는 어쩔 수 없는 현상”이라고 말했다.

한국과, 아시아, 유럽, 북·남미 등 다양한 작가를 불러들여 전통 예술, 설치, 퍼포먼스, 회화, 건축, 뉴미디어를 아우르지만 축제가 여전히 미완성이란 느낌을 지울 수 없는 이유다. 모건은 최근 광주비엔날레를 발판 삼아 미국 뉴욕의 디아 아트재단(Dia Art Foundation)으로부터 감독직(이사회 임원)을 제안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홍경한 평론가는 “제대로 된 전시 기획자 육성 시스템이 없는 국내에서 외국인 감독들의 이 같은 전시는 어찌 보면 당연할 결과”라며 “가장 큰 문제는 사실상 전시 기획자가 스스로 성장할 수 없는 척박한 국내 미술계 현실과 이를 방관하고 정책적 뒷받침을 하지 못하는 문화체육관광부와 문화예술위원회 등에 있다”고 일갈했다.

정준모 평론가 역시 “사실 이번 광주비엔날레를 보면서도 국내의 몇몇 큐레이터도 능히 해낼 수 있는 전시라고 생각했다. 후배들을 키워야 한다는 욕심이 생긴다”고 말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9-16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