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번역각색가 김수빈
‘관객 여러분, 어깨만 들썩이지 마시고 일어나십시오. 지금은 그러셔도 됩니다. 일어나 박수를 치십시오. 더욱 격하게 은혜 받으실 시간입니다.’뮤지컬 번역·각색을 하는 김수빈 작가가 지난 22일 서울 합정동 한 카페에서 최근 끝난 ‘시스터 액트’ 작업에 대해 말하고 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출신인 그는 뮤지컬 조연출을 하고 직접 제작한 영화 ‘소꿉놀이’를 감독한 경험이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사실 이 자막은 오리지널 대본에는 없다. 교주가 부흥회 신도들에게나 외칠 법한 생경한 자막은 뮤지컬 번역각색가인 김수빈(31) 작가의 아이디어다.
1992년 개봉한 동명 영화를 국내에서 초연한 뮤지컬 ‘시스터 액트’는 평균 객석 점유율 93%로 연말 연초 최고 흥행작이 됐다. 브로드웨이 배우들의 끼 넘치는 코믹 연기와 거장 앨런 멩컨의 음악에 더해 미국식 유머를 ‘겨땀 에디’, ‘이거 실화냐’, ‘푸처 핸접, 소리 질러!’ 등 눈에 쏙쏙 꽂히는 ‘한국식 말발’로 각색한 김 작가도 흥행의 일등공신으로 꼽힌다.
지난 22일 서울 합정동의 한 카페에서 만난 김 작가는 “무대에서 벌어지는 장면과 자막의 시각적 정보가 일치하면서 관객들 머리에 ‘찌릿’하는 전기 작용을 일으키게 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오는 9월 초연될 뮤지컬 ‘마틸다’를 번역·각색 중인 그는 2010년 ‘스팸어랏’ 이후 쏟아지는 러브콜을 받으며 ‘애비뉴 Q’(2013), ‘킹키부츠’(2014), ‘스위니토드’(2016), ‘지킬 앤 하이드’(2017) 등 10여편의 라이언스·내한 공연에서 개성 넘치는 ‘말맛’을 선보였다.
김 작가는 “흥에 젖은 관객들이 엉덩이를 들썩들썩할 때 조금만 물꼬를 터주면 성령 충만의 시간이 되겠구나 싶었다”며 “시스터 액트 대본 작업은 웃음 배치에 꽤 공을 들였다”고 말했다.
그는 오리지널 공연 영상을 보며 편의상 대박·중박·소박으로 나눠 웃음 포인트를 잡는다. “초벌 번역 때 어디를 죽이고, 어디는 찰떡같이 차지게 만들지, 어떤 조합이면 ‘아 웃기다 할까’를 계산하며 대본 분석을 해요. 관객들이 자막이라고 느끼는 순간 공연 몰입도가 팍 떨어지기 때문에 늘 공연과 자막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지점을 찾기 위해 노력하죠.”
김 작가가 만든 시스터 액트 자막은 총 1583장이다. 공연 내내 1583번이나 스크린에 뜬 자막으로 시선을 옮기는 건 관객으로선 꽤 중노동이다. 그런 만치 짧고 감각적이어야 하고, 무대 상황과 딱 떨어져야 한다. 그가 작업 노트에 배우와 극중 캐릭터를 분석하고, 대사 톤부터 감정, 연출가의 요구 사항 등을 꼼꼼히 기록하는 이유다.
김 작가는 국내 자막계에 생소한 도전으로 눈길을 끌었다. 그는 “시스터 액트의 경우 작품에 흐르는 B급 정서를 궁서체 자막으로 표현하고, 관객에게 유머를 시각적 정보로 전달하기 위해 짤방과 컬러폰트도 활용했다”고 말했다.
김 작가는 한국 관객들이 공감할 만한 사회 풍자적 대사로도 호평을 받았다. 이를테면 ‘애비뉴 Q’에서 몬스터 학교 설립에 나선 주인공 인형들이 “‘전 재산이 29만원이라는 그 사람에게 기부 받을까”라고 고민하는 장면이 대표적이다.
자막을 쓰지 않는 라이선스 공연의 경우 우리나라 배우들에게 친숙한 언어적 구조, 톤, 극 해석, 각자의 호흡에 맞춘 대본을 중시한다.
“스위니토드의 ‘푸어 싱’이라는 곡 중 러빗 부인이 ‘칼날을 닮은 예술가’라고 노래하는 구절이 있어요. 더블 캐스트 된 옥주현 배우는 ‘너무 은유적 표현으로 러빗 부인의 감정이 선명하지 않다’고 생각했고, 전미도 배우는 그 대사를 마음에 들어 했죠. 결국 옥주현 배우만 ‘칼을 든 진짜 예술가 ’로 수정해 불렀어요. 중요한 건 배우들이 가진 각자의 감정을 최대치로 이끌어 내는 거예요.”
뮤지컬 번역·각색 작업은 편차가 크다. 먼저 직역본을 만든 후 초벌-수정을 오가다 두 달 만에 손을 터는 작품이 있는가 하면 반년 이상 퇴고만 하다 배우들의 리딩을 통해 최종본이 나오기도 한다.
“번역은 해체와 재조합이라는 과정을 거친 재창작이라고 생각해요. 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관객이에요. 우리말 자막이나 대본을 통해 관객들이 공연을 즐기고 행복한 포만감을 느낄 수 있는 것. 그게 지상 목표이죠.”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8-01-2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