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서 미술을 만나다 】
‘성서 미술을 만나다’는 인간의 삶에 관한 나의 질문이다. 인간사회는 성서보다 더 복잡하고 의문투성이다. 성서는 피해자인 예수와 그를 죽인 가해자, 예수를 팔아넘긴 자와 그를 따르며 순교한 사람들로 이분법적으로 단순하게 나뉘어 있지만 인간 세계는 그렇지 않다. 눈에 보이지 않는 행운과 불운이 세상을 지배한다. 모든 것을 다 가져 향유에 취해 살아가는 것같이 보이는 사람도 있고 두 다리로 설 수조차 없어 고통받는 사람도 있다. 이 모순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과연 착해서 복을 받은 것이고, 악해서 벌을 받은 것일까.행과 불행, 다복과 박복함을 누가 좌우하는지 성서를 통해 답을 얻었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난 답을 얻지 못했다. 대신에 성서의 인물들 속에서 내 모습을 발견했다. 배반자 유다, 예수를 죽이라고 소리치는 군중, 비겁하게 은근슬쩍 책임을 회피하려는 빌라도가 바로 나 자신일 수 있다는 것이다. 아무런 잘못도 없이 억울하게 죽은 사람이 과연 예수 혼자일까, 죄 없는 사람을 생각이 다르고 행동이 거슬린다고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소리치는 군중이 과연 성서 속에만 존재할까. 무고한 사람을 제물로 삼아 십자가에 못 박아 죽일 수 있는 인간 본능의 잔혹한 폭력성은 지금도 전세계 도처에서 되풀이되고 있다.TV, 신문에서 누가 누구를 죽였다는 사건이 거의 매일 보도되고 있고 그 살해 방법의 잔인함에 온 몸에 소름이 돋기도 한다. 지구의 저쪽에서는 민족과 종교의 이름으로 선량한 사람을 인질로 삼아 죽이기도 하고, 테러와 전쟁을 정당화시키기도 한다. 그러므로 십자가 책형은 종교에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라 주변에서 매일 일어나고 있는 현재 진행 중인 사건이라 하겠다. 살인, 테러, 전쟁이 아니더라도 매일의 평범한 일상 속에서 우리들은 좌절과 실패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십자가에 책형당하는 듯한 고통을 당하기도 한다. 물론 성서는 우리들의 삶에서 모함, 음해, 고통만 있는 것이 아니라 용서, 화해, 사랑, 행복이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의 첫 장에서 근세미술을 다루고 있지만 주요 내용은 현대미술에 관계된 것이다. 과거에는 종교화를 통해 종교를 보았다면 현대인은 종교화를 통해 현실을 보기 때문이다. 성서는 근대사회로 들어오기까지 서양미술에서 가장 중심적인 화두였다. 수백 년 동안 위대한 교회미술은 위대한 서양미술이었다. 그러나 현대 미술가들은 종교의 역할이나 교회의 목적을 위해 종교화를 그리는 것이 아니라 종교적 주제를 통해 시대와 개인의 구원을 간절히 희망하기도 하고 때로는 인간 실존의 문제에 화두를 던지기도 한다. 그러므로 이 책은 회화에 있어 종교적 역할이나 성서의 내용을 전달하는데 목적을 두지 않는다. 성서를 주제로 한 회화를 통해 인간의 욕망, 본능, 삶의 여러 모습을 고찰하면서 동시에 현대미술의 방향과 개념 그리고 미학적 가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한길사 펴냄.
김현화 숙명여대 회화과 교수
2008-10-03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