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에 비유해 가족관계 그린 김숨 신작장편소설 ‘물’

물질에 비유해 가족관계 그린 김숨 신작장편소설 ‘물’

입력 2010-04-03 00:00
업데이트 2010-04-03 01: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머니는 만물의 근원 물이다

그리스 철학자였던가. 탈레스는 물을 만물의 근원이라고 했다. 만물의 형태인 고체, 액체, 기체로 모두 존재할 수 있는 유일한 물질이라는 것이 그 근거였다. 순진한 고대 철학자의 분석은 얼마 지나지 않아 곧바로 부정됐지만 물이 지니고 있는 속성에 대한 그의 진지한 모색 자체를 부정하기는 어렵다.
이미지 확대
소설가 김숨
소설가 김숨


2500여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김숨(36)이 새로 내놓은 장편소설 ‘물’(자음과모음 펴냄)은 이 세상 태초의 물질이자 모성성의 원형인 물의 성격을 두고 신화와 전설, 그리고 태고의 상상력을 동원해 쉼없는 반복 심화로 사유하고 통찰한다. 여기에 물 주변에서 물과 투쟁하거나 순응하며 살아가는 불, 소금, 금, 공기, 납 등 물질 원형이 함께 등장한다.

●아버지는 불·세딸은 소금·금·공기 묘사

김숨의 소설 속에서 이러한 모든 물질들은 가족 관계로 묶여 있다. 어머니 물을 중심축으로 삼아 아버지 불, 쌍둥이 첫째 딸 소금, 둘째 딸 금, 셋째 딸 공기, 손녀 납까지 한결같이 물과 불화하며 투쟁하거나, 물을 이용하거나, 물을 두려워한다. 한 방울의 물은 세상의 시작이면서 세상의 끝이고, 세상을 둘러싸고 있는 것이다.

하루 아침에 물속으로 가라앉아 버린 버뮤다 피라미드, 바하마제도의 건축물들, 전설 속 무대륙 등 고대의 그 숱한 도시들의 사례 역시 물이 상징하는 공포와 종말을 보여준다. 그래서 작가는 반복한다. ‘문제는 언제나 그렇듯 물’이라고 말이다.

소설의 화자는 ‘소금’이다. 인류 문명을 일으키고 추앙받아 왔지만 이제는 흔해 빠진 천덕꾸러기가 된 소금이 그렇듯 ‘소금’ 역시 자신의 고귀함을 모른 채 그저 어머니 ‘물’을 두려워하기만 한다. 하지만 소금섬에서 ‘수시로 물을 끼얹어야 소금이 단단해질 수 있음’을 깨닫고 돌아와 더욱 적극적으로 어머니, 물을 돌본다.

반면 결코 물을 극복할 수 없는 성질을 띤 아버지 ‘불’은 물을 배신하고 도망쳤다가 다시 돌아와 물의 힘이 쇠하기만을 기다린다. 그러는 중에도 ‘만물의 근원은 물이 아니라 불’임을 확인시키려는 듯 세 딸 ‘금’, ‘소금’, ‘공기’의 환심을 사려 하거나 폭력적으로 지배하려 든다. 그의 이전 작품 속 대부분 남성들이 그러했듯 ‘불’ 또한 무기력하고 맹목적이고 폭력적이다.

●넌지시 내비친 작가의 마음 한자락

전작 장편소설 ‘백치들’, ‘철’, ‘나의 아름다운 죄인들’처럼 건조한 문체와 그로테스크한 서사(敍事)는 여전하다. 오히려 ‘물’은 전작들이 갖고 있는 환상과 리얼리즘의 절묘한 결합의 미덕조차 저버리고 환상 쪽의 손을 힘껏 치켜올려 준다. 최소한의 서사성만 남긴 채 더욱 숨막힐 듯 지독하게 메마른 문장과 불편하기 그지없는 비현실적 상황들이 연속된다. 그럼에도 김숨 특유의 흡입력은 더 강해졌다.

‘어머니, 물’이 직접 내뱉는 이야기는 소설에서 딱 두 번 나온다. 그를 통해 넌지시 내비치는 작가의 속마음 한 자락이 확인된다.

‘원죄를 씻기 위해서는 희생양이 필요하다. … 남편과 딸들을 위해 내 육체를 기꺼이 희생하기로 한다. 내 육체가 … 바위와 흙과 자갈과 모래 속으로 스며들도록 할 것이다.’(216~217쪽)

작품 말미에서는 ‘소금’ 역시 300만t의 물이 쓸고 간 뒤 늪 한가운데 섬처럼 남은, 낡아 무너질 것 같은 집을 지키며 조카인 ‘납’의 어머니 역할을 기꺼이 떠맡는다. 그동안 김숨에게 희미하게만 엿보이던, 생명을 관장하는 모성성과 새 생명을 위한 희생의 존엄성이 구체적으로 내비쳐지는 대목이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4-03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