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의 또 다른 면모 고스란히…‘교감 완역 난중일기’

이순신의 또 다른 면모 고스란히…‘교감 완역 난중일기’

입력 2010-04-24 00:00
업데이트 2010-04-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감 완역 난중일기】 노승석 옮김 민음사 펴냄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中日記)’가 국내 최초로 완역됐다. 400여년의 시간 동안 묻혀 있던 을미년(1595) 일기가 새로 햇빛을 봤고, 기존 판본에서 오역됐던 부분이 새로 수정됐다.

임진왜란 발발 석 달 전인 임진년(1592) 1월1일부터 시작해 노량해전에서 전사하기 이틀 전인 무술년(1598) 11월17일까지 쓴 ‘난중일기’ 자체의 가치는 현 시점에서 따져보더라도 최고 수준의 종군기록으로 평가받는다. 다만 긴박한 진중에서 초서로 흘려쓴 기록이기에 정확한 해독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 현실이었다.

‘교감 완역 난중일기’(노승석 옮김, 민음사 펴냄)는 한학자이자 초서 연구가인 노승석 순천향대 이순신연구소 교수가 2004년 문화재청이 초고본을 판독하는 문화재 디지털정보화 사업에 참여한 것을 시작으로 7년에 걸친 대역사(大役事)의 결과물이다.

노 교수는 교감학(校勘學)의 창을 통해 그동안의 미해독 글자들을 모두 해독했고, 기존 판본의 인명과 지명 등 오류 100여곳도 바로잡았다. 교감학이란 고증학의 하나로 경전의 문장, 문자 등의 오기(誤記) ·오전(誤傳) 등을 다른 책과 비교 대조하여 바로잡는 학문 방법이다.

2008년 ‘재조번방지초(再造藩邦志抄)’라고 알려진 ‘충무공유사’를 해독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난중일기’ 판본에서 누락된 32일치 일기를 발견했다.

특히 그동안 전서본만 전해 오던 ‘을미일기’의 일기초가 노 교수의 작업을 통해 발굴된 점은 의미가 깊다. 전황을 중심으로 기술된 ‘난중일기’의 대부분 내용과 달리, 새로 발굴된 기록은 개인의 감상과 가정사 중심으로 적혀 있다.

권율, 원균 등에 대한 평가가 직접적으로 드러난 것은 이순신의 또 다른 면모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민음사는 “이번에 펴낸 ‘난중일기’는 초고본에서 문맥과 문헌을 참고해 91건을 바로잡았고 전서본으로 29건, ‘난중일기초’로 3건, 새로 발견된 일기초로는 58건을 교감·수정했다”며 “교감한 원문을 전부 수록하고 세심한 주석도 달았다”고 설명했다. 3만 5000원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4-24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