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詩를 노래하다

시인, 詩를 노래하다

입력 2010-04-24 00:00
업데이트 2010-04-24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태주 시집 ‘시인들 나라’ 출간

시인(詩人)이 시인(詩人)을 궁금해한다. 질문하고, 대답하고, 또 질문하고…. 1971년 신춘문예로 등단했으니 꼬박 39년을 맑은 시인으로 살아오며 평생에 걸쳐 묻고 답했을 그 주제에 대해, 노() 시인이 아직도 묻고 있음은 심상하지 않다.

나태주(65)의 새로운 시집 ‘시인들 나라’(서정시학 펴냄)는 88편 모두 한결같이 시인 특유의 담백하고도 따뜻한 서정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또한 시와 시인을 소재이자 주제로 삼아 써낸 일종의 메타시라고 할 수 있다. 자연의 아름다움과, 함께 지내온 사람들의 아름다움을 담아내는 시인의 감성은 시력(詩歷)이 깊어질수록 점점 해맑은 어린아이의 감정을 닮아가고 있다.

시집간 어린 누이가 넘었던 고개를 바라보며 ‘…//때까지 멧비둘기 우는 고개로/ 웃으며 떠나간 산골/ 꼬불꼬불 청양 가는 고개는/ 누이의 고개//(…) 오다가다 만나는 패랭이꽃 꼭두서니/ 이름 잊은 풀꽃들// 누이 대신으로 아는 체/ 웃어주기도 했다.’(‘청양행’ 부분)고 노래한다. 맑은 시어와 시정은 여러 시편에서 언뜻언뜻 동시의 느낌으로 다가온다.

하지만 시인은 자신의 시에 대한 여전한 욕망과 시기, 선망, 그리고 무한한 애정의 헌사를 그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서정 속에 감춰진, 불끈거리는 시에 대한 열정을 애써 감추지 않는다. 표제작 ‘시인들 나라’는 네 편의 연작시다.

‘… 시인들은 쪼글쪼글 말라버린 고구마나 씨감자처럼/ 늙을 대로 늙을 때까지 살아놓고 볼 일이다/…/ 오래 입어 해진 속내의 같은 그런 얼굴이 될 때까지 말이다.’(‘시인들 나라 1’)처럼 시에 대한 무한 욕망을 나타내는가 하면, ‘(…)/ 시인이란 이름도 벗어던져야 할 허깨비다’(‘시인들 나라 2’), 또는 ‘…/ 나의 가장 커다란 실수는/ 시 쓰는 사람이 되어버린 것입니다.’(시인 2’)라고 스스로 경계하려는 노력도 멈추지 않는다.

그러면서 욕심을 버리고, 이름 얻으려 하지 말고, 오로지 시에 충실하기를 ‘잔소리’로 가르침을 준 스승들인 박목월, 전봉건, 김구용(‘시인들 나라 3’)을 그리워하고, 이러한 가르침을 말 없이 실천하고 있는 ‘내가 서울 어딘가에 숨겨 놓은 시인, 나의 친구 임석순’(‘진짜 시인’)을 배우려 하고 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4-24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