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지 말투로 혜성처럼 등단

무협지 말투로 혜성처럼 등단

입력 2010-04-24 00:00
업데이트 2010-04-24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편소설 ‘변두리 괴수전’ 낸 무명작가 이지월

신춘문예 근처에도 가지 않았다. 신인상을 받은 것도 아니고 시나브로 단편을 발표하다 책을 모아 낸 것도 아니다. ‘듣도 보도 못한’ 작가 지망생이 대형 출판사로 장편소설을 한 편 투고했고, 곧바로 출간이 결정됐다. 장편소설 ‘변두리 괴수전’(민음사 펴냄)을 쓴 신인 소설가 이지월(36)의 이야기다.

이미지 확대
무협지 문체와 학원만화 구성을 빌려 한국 사회의 현실을 꼬집은 신인 소설가 이지월. 민음사 제공
무협지 문체와 학원만화 구성을 빌려 한국 사회의 현실을 꼬집은 신인 소설가 이지월.
민음사 제공


●‘듣보’작가, 대형출판사서 낙점

이지월은 이렇게 ‘갑자기 땅에서 솟은 작가’이기에 오히려 기성 작가를 닮은 고루한 티가 전혀 나지 않는다. 오히려 등단 제도를 거치지 않아 더 발랄한 상상력을 마음껏 보여준다. 그가 신춘문예로 등단했다면 ‘변두리’ 같은 작품을 쓰지는 못했을 것이다.

작품은 무협지의 문체와 학원만화의 구성을 능숙하게 빌려 쓴 성장소설이다. 배경은 서울과 멀지 않은 곳에 있는 도시 ‘은강’. 이곳은 ‘갑갑함과 깊은 회의로 가득 찬 세상의 변두리’로 그 속에서 아이들은 사납고 난폭하게 자라난다.

어릴적 아버지 회사가 부도를 맞아 이곳으로 이사와 자란 ‘나’ 역시, 강호(江湖)와도 같은 이곳에서 ‘은강의 아이’로 커간다. 거기서 ‘나’는 싸움의 고수인 동료 ‘스승’을 만나고, 여선배 ‘소피’를 만나 풋풋한 마음을 키우기도 한다.

그들이 다니는 ‘은강고등학교’는 퇴역한 노장군이 이사장으로 있는 학교. 이사장의 조카가 교장이고, 교장의 조카가 교무주임, 교장 사돈의 팔촌이 학교 지정 교복점을 경영하는 ‘전통과 족보가 확실한 학교’다. ‘나’를 포함한 주인공들은 이렇게 깊이 뿌리내린 학교의 부패와 악습을 참지 못하고 결국 ‘혁명’을 도모한다.

검증도 안 된 아마추어의 작품을 대형 출판사가 선뜻 출판했으니 작품의 대중성만큼은 담보하고 있다고 봐야겠다. 출판사가 장담한 대로 펼친 책장을 놓지 못하게 하는 힘이 범상치 않다. 그 일등공신은 사이사이 웃음이 새어나오게 하는 해학적인 문체다.

집 대문을 나선 7살 아이는 무협지에서 빌려온 근엄한 한문투의 말투로 “이제 세상으로 나설 때가 온 것이었다. 내 나이 일곱 살. (중략) 장부가 길을 걷고자 하는데, 감히 무엇이 그 발목을 잡아챌 수 있겠는가.”라고 이야기한다.

밖에서 얻어맞고 온 그 7살 녀석을 데리고 그를 때린 또래 아이들을 찾아 가서 던진 엄마의 대사는 또 이렇다. “나의 소중한 혈육에게 폭행을 가한 자들이여. (중략) 목을 길게 빼고 얌전히 처벌을 기다려라!”

이런 쾌활하고 발랄한 언변은 상황과 표현의 괴리 속에서 시종일관 흥미를 잃지 않도록 만들어 준다. 그렇다고 ‘변두리’가 능청스러운 표현만 남은 가벼운 소설인 것은 결코 아니다. 이지월은 가벼운 재미를 양념으로 뿌리면서, 현실과의 접점을 잃지 않는 날카로운 시선을 그 안에 숨기고 있다.

●능청 속 사회문제의 씁쓸함

특히 부패한 학교에 대한 학생들의 투쟁은 여러 모로 의미를 곱씹어 볼 만하다. ‘혁명’ 운운한 학생들의 집단행동은 거창한 이유가 아니라 “질 좋은 교복을 입고 싶다.”는 지극히 현실적이고, 일면 사소한 욕망에서 시작된다. 하지만 학교는 그 목소리를 묵살하고, 결국 학생들은 폭력이라는 허용되지 않는 극단적 수단을 취한다.

여기에 등장하는 해직 교사, 재단 설립에 반발하는 철거민 등의 집단도 한국 사회가 지나온, 또는 지금 지나가고 있는 현실을 떠올리게 해 서글픈 느낌을 준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0-04-24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